The Change of Peripheral Eosinophil Count after Bronchial Provocation with Inhaled Histamine in Bronchial Asthmatics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후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

  • Kim, Chi-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won, Soon-Seo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Han, Ki-D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김치홍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권순석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한기돈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화식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2.10.31

Abstract

Background: Recently, bronchial provocation of the airway of atopic asthmatic subjects with inhaled allergen has been shown to produce an initial peripheral blood eosinopenia followed by an eosinophilia occurring approximately 12 to 18 hrs after the challeng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change of peripheral eosinophil count (PEC) after bronchial provocation with nonspecific stimuli such as histamine or methacholine. Interestingly our preliminary study demonstrated a notable change of PEC during bronhial provocation with inhaled histamine in some asthmatic subj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evaluate our preliminary data and to further investigate the change of PEC during as well as after bronchial provocation with inhaled histamine in bronchial asthma tics. Methods: Sixteen asthmatic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ronchial provocation with inhaled histamine was done between 9 AM and 12 MD. Blood samplings for PEC were done with 5 minutes intervals during the procedure, and repeated at 1 hour, 2 hours, 4 hours, 8 hours,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haracterized by each pattern in the change of PEC during the procedure. A group (11 of sixten, group I)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of PEC and another group (5 of sixteen, group II) showed a decreasing pattern of PEC during the procedure. 2) Group I demonstrated a tendency to maintain continuously higher level of PEC than the baseline value until 48 hours after the procedure. 3) Group II demonstrated a tendency to maintain continuously lower level of PEC than the baseline value until 48 hours after the procedure.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baseline eosinophil count, baseline $FEV_1$, $PC_{20}$ of histamine, and serum IgE level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of PEC produced by inhaled histamine in asthmatic subjects is much different from that produced by inhaled allergen, and that each patient may have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change of PEC in response to bronchial provocation with inhaled histamine. Alterna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osinophils may be partially involved in the early asthmatic reaction.

연구배경 : 최근 알레르겐 흡입을 이용한 기관지유발 검사시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가 있음이 알려져 있고, 이는 기도 조직내로의 호산구 유입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히스타민나 에타콜린 흡입과 같은 비특이적 자극에 의한 기관지유발시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불충분하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예비적으로 몇몇 천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후 기도수축이 일어날때까지 말초혈액 호산구수를 단계적으로 측정해본 결과, 호산구수가 점차로 증가하는 환자군과 반대로 감소하는 환자군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저자들의 이러한 예비연구 결과를 재검토하고, 히스타민 기관지유발 검사중에 나타난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가 검사후에는 어떤 경과를 밟게 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16명의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히스타민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함과 동시에, 검사전 및 검사후 노력성 1초 호기량($FEV_1$)이 기저치의 20% 이상 감소할때까지는 5분간격으로, 그다음에는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및 48시간후에 각각 말초혈액 호산구수홀 측정하여 그 변화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중의 말초혈액 호산구수 변화를 기준으로 관찰하였을때, 11명(group I)은 기도수축 직전에 기저치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나머지 5명(group II)은 기도수축 직전에 기저치보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 Group I에 속한 환자들은 모두 기도수축 후에도 계속 호산구수가 기저치보다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3) Group II에 속한 환자들은 대부분 기도수축 후에도 계속 호산구수가 기저치보다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4) Group I과 group II간의 말초혈액 호산구수 기저치, $FEV_1$ 기저치, 히스타민 유발농도 및 혈청 IgE 양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후 나타나는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는 알레르겐 기관지유발검사시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며, 환자에 따라 계속 증가 혹은 감소되는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기 천식반응에도 호산구가 어느정도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가톨릭 중앙의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