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lumn Process on the Treat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Leachate

Column 장치를 이용한 도시쓰레기 침출수의 처리효과

  • Han, Mun-Gyu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 Ju-Sik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Hong-Jae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eo, Jong-Soo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한문규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조주식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홍재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허종수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92.11.30

Abstract

Municipal landfill leachate, a major source of soil contamination and ground water pollution,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in the leachate by sand, briquet ash, fly ash, and activated carbon columns, COD and some pollutants in the leachate passed through each column for 8 weeks were examined. Average COD removal efficiency for 8 weeks was 83%, 45%, and 43% by activated carbon, briquet ash and fly ash columns, respectively. COD was not effectively reduced by sand column. Average ${NH_4}\;^+$ removal efficiency for 8 weeks was more than 60% by ail columns. Hardness was effectively removed for 8 weeks by fly ash and activated carbon columns. Anoins including $PO_4\;^{3-}$, $CI^-$ and $SO_4^{2-}$ were not removed by all columns.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를 모래, 연탄제, fly ash 및 활성탄을 각각 충전시킨 column에 8주간 매주 통과시켜 오염물질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COD는 활성탄 column에서 8주동안 평균 83%이상 제거되었으며, 연탄재와 fly ash column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거되는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8주 평균 각각 45% 및 43% 제거되었고, 모래 column에서는 거의 제거되지 않았다. $NH_4\;^+$-N는 모든 column에서 8주 평균 60%이상 제거되었으며, Hardness는 활성탄과 fly ash column에서는 8주간 지속적으로 제거된 반면 연탄재 및 모래 column에서는 불규칙적이었고 특히 8주째에는 거의 제거되지 않았다. $PO_4\;^{3-}$는 1주 이후부터 모든 column에서 불규칙적으로 제거되었으며, 특히 fly ash column에서는 4, 5주째 폐기물 침출수 원액에 비해 $PO_4\;^{3-}$가 4배 높게 나타났으며, $CI^-$$SO_4\;^{2-}$등의 음이온은 1주 이후부터 모든 column에서 제거되지 않았으며, 이는 충전 물질과 침출수의 pH가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각 column내 각 오염물질 흡착량을 토대로 각 흡착성분간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활성탄, fly ash 및 연탄재 column에서는 양이온간에 서로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모래 column에서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고, 활성탄과 fly ash column에서는 음이온간에 유의적인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모든 column에서 양이온과 음이온간에는 대부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