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of water quality on some reservoirs with a simple model

단순(單純)모델을 이용(利用)한 저수지(貯水池) 수질예측(水質豫測)

  • Kim, Jeong-Gyu (Water Pollution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
  • Fukushima, Takehiko (GroupRegional Environment Division,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NIES)) ;
  • Aizaki, Morihiro (GroupRegional Environment Division,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NIES)) ;
  • Suh, Yoon-Soo (Water Pollution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 김정규 (국립환경연구원 수질연구부) ;
  • 복도무언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지역환경연구) ;
  • 상기수홍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지역환경연구) ;
  • 서윤수 (국립환경연구원 수질연구부)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features of reservoir environment and its future aspects, a simple predictive model for water quality was attempted with the aid of data easily obtained, Based on the data from 12 reservoirs in Korea, application of the simple predictive model was successfully made by means of statistical methods and simple physical submodels. Significant information on th effects of retention time on primary production in a reservoir, longitudinal change in water quality affected by certain non-dimensional parameters were also obtained.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can be predicted by the equation as ; chlorophyll-a=($395{\time}limiting$ nutrient concentration) - 1.090.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집가능한 데이타를 이용하여 간단한 수질예측 모델의 작성을 목적으로서, 우리나라의 주요한 12개 댐호(湖)를 대상으로 유역정보와 호수 수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수의 환경정보가 매우 적기 때문에 데이타의 취사선택에 관해서 충분한 검토를 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앞으로 이들 데이타의 확보나 정보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댐호(湖)의 영양염 농도의 예측에는 침강속도를 0.4m/년으로서 Dillon과 Kirchner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았다. 3. 엽록소 a의 농도는 엽록소 $a=395\;{\time}\;Nu-1.090$의 식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4. 앞으로 예측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생원단위 및 배출원단위의 검토와 보다 많은 호수나 댐에서의 실측 데이타 및 유역 환경 데이타의 축적 및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