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icultural Utilization of Paper Mill Sludge Manure Compost - II. Effects on the Growth of Carrot(Daucus carota L.)

제지(製紙) 스럿지 퇴비(堆肥)의 농업적(農業的) 이용연구 - II. 당근에 대(對)한 시용효과

  • Published : 1992.06.19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of two kinds of peper mill sludge manure compost(SMC-1 and SMC-2) on the growth and chemical comments of carrot(Daucus carota L.) : SMC-1 contained 18% of swine manure and 8 % of sawdust on a fresh weight basis and SMC-2 contained swine manure without sawdust a third of the total weight of the manure and S-0(control) was treated with chemical fertilizer only, S-1 and S-2 was with SMC-1 and SMC-2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chemical fertilizer. Carrot treated with S-1 and S-2 showed the increasing tendency of fresh weight per root and fresh yield of carrot per unit area than control(S-0), and the contents of nitrogen(N), phosporus(P), potassium(K) and calcium(Ca) in carrot grown on SMC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ose on control(S-0), The S-2 treatment tended to increase values of the fresh weight of live leaves, root diameter, fresh weight per root and fresh yield of carrot per unit area than S-1 treatment. The contents in carro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K>Ca, N. P>Mg, and the contents of aluminium, zinc, copper and chromium were below the level of toxicity for plant growth, and the contents of cadmium and lead were negligible. From the results obtained, it can be said that SMC application showed favorable effects on the growth of carrot when compared to control(S-0), and with the SMC treatments SMC-2 aplication was favorable.

제지(製紙)스럿지 숙성퇴비(熟成堆)의 비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중량(生重量) 기준으로 18%의 돈분(豚糞)과 8% 정도의 톱밥을 포함한 숙성퇴비 1(SMC-1)과 톱밥을 넣지 않고 돈분을 총량의 3분의 1 포함한 숙성퇴비 2(SMC-2)를 준비하여, 화학비료만을 시용한 대조구(對照區)(S-0), 화학비료에 숙성퇴비 1을 10,000kg/ha 더해준 처리구 (S-1구) 및 숙성퇴비 2를 10,000kg/ha 더해준 처리구 (S-2구)의 3가지 처리를 하여, 당근을 공시작물로 하여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근의 생육(生育)에 대한 제지스럿지 숙성퇴비의 시용(施用)은 무시용구(無施用區)와 비교해서 당근 1개당 생근중량(生根重量), 단위면적당 수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질소, 인, 칼륨 및 칼슘 함량은 시용구에서 높았다. 제지스럿지 숙성퇴비 사이의 차이는 생엽중(生葉重), 근경(根徑), 생근중량(生根重量) 및 단위면적당 수확량에 있어 S-2구가 S-1구보다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당근중의 함량은 칼륨>칼슘, 질소, 인>마그네슘의 순이었고, 알루미늄, 아연 구리 및 크롬 함량은 식물체 생육에 독성(毒性)을 나타내는 수준보다 낮았으며, 납과 카드늄 함량은 미량(微量)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부터 당근에는 무시용구(無施用區)보다는 제지(製紙)스럿지 시용(施用)이 생육에 효과가 있었으며 SMC-2 시용이 SMC-1 시용보다 유리(有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