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國內) 문헌정보(文獻情報) 검색(檢索)을 위한 키워드 자동추출(自動抽出) 시스템 개발(開發)

Automatic Keyword Extraction System for Korean Documents Information Retrieval

  • Yae, Yong-Hee (Computer System Division, Korea Institute of Industry & Technology Information)
  • 발행 : 1992.03.31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실제의 데이터 분석(分析)을 통하여 60여개의 조사(助詞)와 출현빈도는 높지만 검색(檢率)에 불필요한 320여개의 불용어(不用語)를 선정하여 좌우절단을 적용한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조사(助詞)와 불용어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법(方法)을 제시한다. 한글문헌에서 단어(單語)가 추출되면 조사의 효율적인 절단이 이러우지고, 한자어(漢字語)일 경우 한글로 변환되며, 2단계로 불용어제거(不用語除去) 과정을 거쳐 키워드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여기서 추출된 키워드는 정보전문가(情報專門家)에 의해 추출된 색인어(索引語)와는 92.2%의 일치율을 보였다. 그리고 $4{\sim}6$글자로 구성된 복합어(複合語)의 경우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한 분리방법에 의해 약 2배의 새로운 단어(單語)를 추가할 수 있었으며 그 중 58.8%가 키워드로 적합했다.

In this paper about 60 auxiliary words and 320 stopwords are selected from analysis of sample data, four types of stop word are classified left, right and - auxiliary word truncation & normal. And a keyword extraction system is suggested which undertakes efficient truncation of auxiliary word from words, conversion of Chinese word to Korean and exclusion of stopword. The selected keyeords in this system show 92.2% of accordance ratio compared with manually selected keywords by expert. And then compound words consist of $4{\sim}6$ character generate twice of additional new words and 58.8% words of those are useful as keywor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