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olute Renal $^{99m}Tc-DMSA$ Uptake and Renal Scan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방광요관역류를 가진 소아의 DMSA 스캔과 절대 신섭취율의 평가

  • Bae, Sang-Ky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Dong-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ang, Hyung-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i, Chang-W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oh, Chang-S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i, 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Gwang-Myung (Department of Pediatric 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i, Hwang (Department of Pediatric 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eon, Kyung-Mo (Department of Pediatr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배상균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동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양형인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최창운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정준기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명철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고창순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최용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 ;
  • 김광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비뇨기과) ;
  • 최황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비뇨기과) ;
  • 연경모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방사선과)
  • Published : 1992.12.31

Abstract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DMSA) 주사후 일정시간에 측정한 절대적 신섭취량은 기능이 살아있는 신피질량과 관계있다. 소아의 신기능은 출생후 계속 성숙되어 생후 약 $1\sim2$년에 성인의 기능에 도달하는데 DMSA섭취도 성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며 신질환에서 절대적 신섭취율의 평가는 연령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DMSA 스캔을 시행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스캔상 피질 결손이 없으며 양측신의 섭취율이 비슷하고 혈중 크레아티닌치가 정상인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연령별 DMSA의 절대적 신섭취율을 구하였고 방광요관역류를 가진 환아를 대상으로 DMSA스캔을 시행하고 신섭취율을 조사하였다. 1) 대조군은 모두 65명으로 좌우측 신섭취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 2세경에 플라토에 도달하였는데 한쪽 신장의 평균섭취율은 3개월 미만이 $14.5{\pm}3.1%$ ID, 3개월에서 6개월 미만이 $17.2{\pm}2.1%$ID, 6개월에서 1년 미만이 $18.4{\pm}1.3%$ID, 1년에서 1년6개월 미만이 $19.3{\pm}1.1%$ID, 1년 6개월에서 2년 미만이 $21.9{\pm}2.0%$ID, 2세이상 15세이하가 $20.1{\pm}0.6%$ID였으며 전체 평균섭취율은 $19.4{\pm}0.5%$ID (injected dose, $mean{\pm}S.E.$)였다. 2) 방광요관역류를 가진 환아는 55명 (일측성 56명, 양측성 29명)으로 109신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광요관역류의 정도와 피질결손의 수와는 대체로 비례관계가 있었으나 방광요관역류가 없으면서 피질결손이 있는 경우가 25신장중 2예 (8%)였으며,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84신장중 27예 (32.1%), 이중에서 방광요관역류가 3도 이상인 62신장중 13예 (21%)에서는 피질결손이 없었다. 3) 이환신의 DMSA 섭취율을 연령에 따른 대조군의 섭취율에 대한 비(섭취율비)로 나타내면 한쪽에 역류가 있을 때 이환신의 경우 $0.55{\pm}0.06$, 정상신의 경우 $1.34{\pm}0.05$이었으며, 양쪽에 역류가 있을 때는 평균 $0.82{\pm}0.08$ $(mean{\pm}S.E.)$ 이었다. 4) 피질결손이 있는 신장의 절대 DMSA 신섭취율은 감소되어 있었고 상대측 신장의 섭취율은 피질 결손이 있더라도 대상적인 증가의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소아에서 DMSA 절대적 신섭취율의 연령에 따른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방광요관역류의 정도와 피질결손의 정도가 반드시 비례하지만은 않아서 시간경과에 따른 추후 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환아에서 DMSA 섭취율로 신기능을 평가할 때, 특히 영유아에서 연령에 따른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