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rt of Sandy Sediments in the Yellow Sea off Tae-An Peninsula, Korea

한반도 황해 중부 태안반도 근해 사질퇴적물의 이동

  • Published : 1992.03.01

Abstract

Tidal sand ridges and sand waves are well developed in the Yellow Sea off Tae-An Peninsula, Korea. Their transport directions were inferred based on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s, surficial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tidal regime. Tidal sand ridges are asymmetric, with long axes parallel to or slightly oblique to the dominant NE-SW tidal current direction. They show steep south and/or southeast flanks, which are in concordance with the apparent direction of internal cross-bedding in the south. Holocene sediments occur in accordance with distributional patterns of tidal sand ridges. These features indicate that Holocene active tidal sand ridges move toward the open sea in southeast, south and southwest direction. Sand waves which are distributed in flat sea floor with depth of about 40-60m show also asymmetric forms with a steep east-to-northeast face. Surficial sediments in the sand wave field are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fine sands compared with poorly sorted adjacent areas. The sand waves appear to undergo easterly or northeasterly landward movement.

태안반도 외해역에서 고해상용 천부지층 기록지상에 나타나는 조류성사퇴들 및 sand waves 발달 특징과 표층 퇴적물의 특성 결과를 조류 분포와 관련하여 사질 퇴적 물의 이동양상을 추정하였다. 조사해역에는 비대칭형 사퇴들이 북동-남서방향이 우세 한 강한 조류방향과 평행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빗겨지면서 길게 발달하고 있으 며 대부분의 사퇴들은 남 내지 남동쪽으로 급사면을 가지며 대략 남쪽방향으로 사층리 구조가 발달하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현세 퇴적층은 사퇴들의 퇴적층 두께와 발달 양 상을 보여주며 분포한다. 이 결과로부터 현세 활동성사퇴들은 남동, 남 그리고 남서쪽 방향의 외해를 향해 퇴적물을 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동쪽 내지 북동 쪽의 급사면을 갖는 비대칭형 sand waves 가 수심 약 40-60 m를 보이는 일부 지역의 평탄한 해저면에 발달 분포한다. Sand waves 가 발달한 지역의 표층 퇴적물은 세립사 질 퇴적물로서 분급도가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며 이들 지역의 사질 퇴적물은 동쪽 내 지 북동쪽 육지를 향해 이동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