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ly Ontogeny of Vasuclar Cambium in Cotyledonary Node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유식물의 자엽절에서 유관속형성층의 초기발생

  • 소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The vascular cambium in Ginkgo biloba seedling began to differentiate in the cotyledonary node, and then the differentiation proceeded bidirectionally from the cotyledonary node toward the stem and root. In tangential view, procambium a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was a homogeneous structure consisted of almost similar cells in shape, and at the later stage the procambium became a heterogeneous one consisted of long cells and short cells. Such a differentiation pattern in the cotyledonary node was similar to that in the stem. However, it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root. Fusiform initials and ray initials consisting the vascular cambium were originated from the long cells and the short cells, respectively. The long cells and the fusiform initials in the cotyledonary node were shorter and wider than those in the first internode.ernode.

은행나무 유식물에서 유관속형성층은 성숙한 잎을 포함하여 5장의 잎이 자라고 있을 때 제일 먼저 자엽절에서 발생되고, 이어서 지하기관인 배축-뿌리로 그리고 지상부의 줄기로 즉, 양쪽 방향으로 분화되었다. 접선면 관찰에서 자엽절의 유관속형성층 발생유형은 줄기와 같고 뿌리와는 다르다. 자엽절에서 초기의 전형성층은 동일형의 세포로 구성된 균일구조를 이루고,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신장생장을 하는 일부세포와 횡단분열을 하는 나머지 세포의 두 종류 세포로 된 비균의 구조로 전환된다. 신장을 하는 긴 세포로부터 유관속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그리고 횡단분열을 하는 짧은 세포로부터 방사조직 시원세포가 기원된다. 그러므로 방추된 시원세포는 심한 관입생장을 거쳐서 발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