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Interfascicular Cambium from Residual Meristem in Seed Plants

종자식물 잔존분열조직으로부터 유관속간형성층의 기원과 발생

  • 소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2.09.01

Abstract

The origin of the interfascicular cambium from residual meristem can be elucidated by tangential and transverse observation. It is clear that there is structural distinction between interprocambial and interfascicular residual meristem and adjacent parenchyma in both the transverse and tangential view. Consequently, the residual meristem does not convert into parenchyma but, rather, becomes interfascicular cambium. In tangential view, the homogeneous structure of interfascicular residual meristem at an early stage changes gradually into a heterogeneous one at a later stage, with long and short cells from which fusiform and ray initials originate respectively. However, the homogeneous structure of parenchyma adjacent interfascicular residual meristem does not change into a heterogeneous one but remains the same at all stages of development. Therefore, the interfascicular cambium has a direct ontogenetic continuity with the residual meristem, and does not have its secondary origin from differentiated parenchyma. Furthermore, the ontogenetic pattern of the interfascicular cambium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fascicular cambium.ambium.

잔존분열조직으로부터 유관속간형성층의 기원은 접선 및 횡단면 관찰로 밝힐 수 있다. 전형성층간 및 유관속간 잔존분열조직과 인접 유조직 사이의 구조적인 특징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잔존분열조직은 유조직으로 전환되지 않고 유관속간형성층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접선면 관찰에서 초기의 유관속간 잔존분열조직의 균일구조는 후기에 점진적으로 비균일구조로 변하는데, 이 경우에 방추형시원세포의 기원이 될 긴세포와 방사조직시원세포의 기원이 될 짧은 세포를 갖추게 된다. 그러나 유관속간잔존분열조직에 인접한 유조직의 균일구조는 비균일구조로 변화되지 않고 발생과정의 전시기에 걸쳐서 균일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관속간형성층은 잔존분열조직과 직접적인 연속성을 갖게 되며, 분화된 유조직으로부터 2차적인 기원을 갖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유관속간형성층의 분화유형은 유관속내형성층의 분화유형과 거의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