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전기영동법에 의한 유구낭미충 낭액의 구성 단백질 분석

Immunoelectrophoretic analysis of major component proteins In cystic fluid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 Yoon K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Seung-Yull Cho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Suk-Il Kim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Shin-Yong Ka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1992.09.01

초록

혈청이나 뇌척수액에서 특이항체를 증명하여 유구낭미충증을 진단함에 있어 유구낭미충의 낭액이 가장 민감하고도 특이한 항원임은 이미 알려졌다. 낭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여도 다른 기생충증과 빈도는 낮지만 교차반응이 발생하므로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구성단백질에 대하여 더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구낭미충 낭액을 Sephacryl S-300 Superfine 젤로 분획하고, 낭액 및 그 분획이 낭액을 면역시켜 만든 토끼 항혈청 (RACF)과 반응하는 양상을 면역전기영동법으로 관찰하여 낭액의 구성 단백질의 성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구낭미충 장액을 젤여과법으로 분획하면 제 3분회과 제 4분회에 단백질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제 3분획은 disc-PAGE상 분자량 150 kDa인 것으로 이미 알려진 Band C가 주(주) 구성 단백질이었다. 제 4분획은 분자량이 약 65kDa일 것으로 추정되는 Band N 단백질이 주 구성단백질이었다. 낭액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낭액과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키면 주 침강대 2개와 작은 침강대 7∼8개를 형성하였는데 낭액의 제 3분획은 주 침강대 중 밖에 위치한 긴 침강대를 형성한 반면, 제4분획은 주 침강대 중 안쪽으로 위치한 짧은 침강대를 형성하였다. 유구낭미충과 혈청학적 교차반응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포충(포충, hydatid cyst)의 낭액과 RACF(유구낭미충 낭액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바, 제 4분획이 반응한 위치에서 침강대를 형성하여 제 4분획의 주구성 단백질이 포충증과의 혈청학적 교차반응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유구낭미충증으로 이미 진단한 환자의 혈청 중 효소면역 측정 법으로 항체가가 매우 높았던 혈청 8개를 선택하여 유구낭미충 낭액 및 유구낭미충 충체 추출액과 각각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바 각각 7명에서 침강대를 형성하였고, 제 3분회 및 제 4분회으로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환자혈청 4개 중에서는 제 3분획에서는 4개 모두가 침강대를 형성한 반면 제 4분 회에서는 침강대가 혈청 2개에서 형성되었다.

When cystic fluid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CF) was filtrated through Sephacryl S-300 Superfine, major proteins were in fractions III add IV Major protein in fraction III was Band C protein of 150 kDa and that in fraction IV was Band N protein (Choi et of., 1990). When CF was electrophoresed in 0.9% agarose gel and reacted with anti-CF rabbit serum (RACF), two main bands, a long outer and a short inner band, were precipitated, together with 8 minor bands. RACF reacted with fraction III forming the long outer band whereas RACF formed the short infer band with fraction IV in immunoelectrophoresis (IEP) The long outer precipitin band of CF fraction III was similar to antigen B in hydatid fluid (HF) of Oriol et at. (1971), while the short inner band of CF fraction IV was similar to HF antigen 5 of Caption et at. (1967) . When HF was reacted with RACF, the short inner band was immunoprecipitated without forming the long outer band. Common antigenicity between CF and HF seemed to exist in fraction IV rather than in fraction III of CF. Patient sera of neurocysticercosis reacted more frequently with fraction III than with fraction IV.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