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두경부에 생긴 선양 낭포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 Kim, Won-Do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arn-Ii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wang-Hyu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원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학교실) ;
  • 박찬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학교실) ;
  • 김광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 Published : 1992.06.01

Abstract

Forty eight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n the head and neck treated between 1979 and 1990 were reviewed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and clinical courses. The common site of origin was minor salivary gland ($69\%$), mostly hard palate and maxillary sinus. 11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RT) alone and 37 patients received combined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The follow-up period of the survivors ranged from 4 to 118 months (median 49.5 months). The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69.3\%$, $67.3\%$ and 83.9$\%$ in RT alone, conservative operation (OP)+RT and radical OP+RT group, respectively (p>0.05). The control of local disease was best achieved with radical OP+RT. In postoperative RT, high dose ($\ge$60 Gy) and generous field size($\ge$64 cm$^2$) yielded a better local control rate. Actuarial overall survival rate was $79.0\%$, at 5 years and $19.2\%$ at 10 years. Distant metastases (DM) developed in $40\%$ of patients, mostly in the lung. Disease-free (NED) survival rate was $45.8\%$ at 5 yea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exist according to primary sites and treatment options. Survival rate after the onset of DM was $19.5\%$ at 5 years. Occurrence of DM tends to lower survival significantly. In an effort to find the role of RT in the treatment of ACC, our data suggest that a well-planned postoperative RT employing a high dose and generous field size can produce high local control rate and remaining urgent problem of distant metastasis demands more effective chemotherap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urvival of ACC patients.

1979년부터 1990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8명의 환자가 두경부에 생긴 선양낭포암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5명의 환자는 대타액선의 병변이었고 나머지 33명의 환자는 주로 경구개와 상악동을 침범한 소타액선의 병변이었다. 11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았으며 37명의 환자에게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 추적기간은 49.5개월 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5년에 $71.1\%$,10년에 $44.3\%$였으며 근치적인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경주위로의 침범여부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는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한 경우에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field size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40\%$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폐를 침범하였다. 원격전이 이후의 생존율은 5년에 $19.5\%$로서 원격전이가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생존율은 5년에 $79.0\%$, 10년에 $19.2\%$였으며 8년 이후에도 생존율은 계속 감소하였다. 무병생존율은 5년에 $45.8\%$,였으며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같이한 그룹과 대타액선의 병변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선양 낭포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함으로써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