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Intracranial Tumors; Early Experience with Linear Accelerator

두개강내 종양에 대한 방사선 뇌수술의 역할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Chung Sang Sup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Chu Sung Sil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Kim Young S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Yoon Do Heum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Kim Sun Ho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Loh John Juhn Kyu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Kim Gwi E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정상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추성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영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윤도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김선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노준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귀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2.06.01

Abstract

Between August 1988 and December 1991, 24 patients with intracranial tumors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RS) using a 10 MV linear accelerator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re were 5 meningiomas, 3 craniopharyngiomas, 9 glial tumors, 2 solitary metastases, 2 acoustic neurinomas, 2 pineal tumors, and 1 non-Hodgkin's lymphoma. Ten patients were treated as primary treatment after diagnosis with stereotactic biopsy or neuroimaging study. Nine patients underwent RS for post-op. residual tumors and three patients as a salvage treatment for recurrence after external irradiation. Two patients received RS as a boost followed by fractionated conventional radiotherapy. Among sixteen patients who were followed more than 6 months with neuroimage, seven patients (2 meningiomas, 4 benign glial tumors, one non-Hodgkin's lymphoma) showed complete response on neuroimage after RS and nine patients showed decreased tumor size. There was no acute treatment related side reaction. Late complications include three patients with symptomatic peritumoral brain edema and one craniopharyngioma with optic chiasmal injury. Through this early experience, we conclude that stereotactically directed single high doses of irradiation to the small intracranial tumors is effective for tumor control. However, in order to define the role of radiosurgery in the management of intracraniai tumors, we should get the long-term results available to demonstrate the benefits versus potential complications of this therapeutic modality.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8년 8월 10MV 선형 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뇌수술(radiosurgery, stereotactic external beam irradiation)을 시작한 이래 1991년 12월까지 총 24예의 두개강내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조직학적 유형은 뇌수막종이 5예, 두개인두종이 3예, 악성임파종이 1예, 전이성 뇌종양이 2예 있었다. 대상환자들은 몇가지 다른 질병상태에서 방사선 뇌수술을 받았는데, 10예는 뇌정위적 생검이나 신경방사선학적 영상만으로 진단을 한 후 일차적인 치료로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했으며, 9예에서는 수술 후 잔류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하였다. 또 3예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재발한 종양에 대해 구제요법으로 시행하였고, 2예에서는 외부 방사선 조사와 함께 추가 방사선조사로써 시행되었다. 6개월 이상 추적 조사된 환자 16명 중에서 7명(뇌수막종 2예, 신경교종 4예, 악성임파종 1예)이 CT Scan 또는 MRI상 종양의 완전 소멸을 보였고 나머지 9예는 모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방사선 수술시 급성 부작용은 없었고 4예에서 만성 합병증이 나타났는데 3예에서 신경학적 증상의 발현과 함께 CT Scan상 뇌부종이 나타났었고 1예의 두개인두종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시신경 손상으로 생각되는 시력 소실이 있었다. 저자들의 경험 예들은 조직학적 유형이 다양하고 증례수가 많지 않고 추적 조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결론을 얻기 어렵지만 정위적 방법으로 종양에 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조사함으로써 완전 관해까지의 우수한 종양 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여러가지 종류의 뇌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뇌수술이 생존율 향상이나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증례를 통하여 경험을 축적하여야 할 것이다. 각각 $48{\pm}20W$$39{\pm}19W$이었으며, 폐 가온군이 간 가온군 보다 높았다(p<0.05). 6) 가온에의한 식도내 온도가 폐의 온도보다 $1.1{\pm}0.9^{\circ}C$높았다(p<0.05). 이상과같은 결과는 기낭성기관인 폐도 RF의 보다 높은 출력 이 소요되기는 하나 온열요법을 시행하였을 때 충실성기관인 간과 마찬가지로 종양치료에 유효한 $42^{\circ}C$-$43^{\circ}C$까지 잘 가온될 수 있음을 입증 하였다. 또한 폐의 온열요법시 종격동은 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함으로 종격동의 열손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0.990)로 각각 표시되었으며 각 간의 기울기에 대한 유의차는 없었다.18. 혈청중 LH와 total protein과의 상관계수는 +0.947이다. 19. 혈청중 FSH와 total protein과의 상관계수는 +0.709이다. 20. 혈청중 FSH와 triglycerides와의 상관계수는 +0.549이다. 21. 혈청중 estradiol-$17{\beta}$와 triglycerides와의 상관계수는 +0.673이다. 22. positive feedback mechanism에 의해서 LH, FSH와 estradiol-$17{\beta}$는 간을 자극시켜 albumin, total protein 및 triglycerides를 분필시킴으로서 난황형성(vitellosenesis)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4\%$로 나타났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보통 속도 혹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식사를 하였다. 평소 식사량은 조금 적게 혹은 적당하게 섭취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는 배부르게 먹는 경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