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sic Study on Chitin from Krill and Kruma Prawn for Industrial Use

Chitin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

  • Yang, Ryung (Department of Foo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Hyon, Joon-Ho (Department of Foo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Whang, Yoon-Hee (Department of Foo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양융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
  • 현준호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
  • 황윤희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2.01.01

Abstract

An attempt was made to prepare chitin from kuruma prawn shell and antarctic krill for industrial use, and new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chitin was developed. When antarctic krill powder and kuruma prawn shell powder were treated through the new procedures developed in this study, purified chitin, identified by IR spectrum and nitrogen content, was obtained. Molecular weight in formic acid of purified chitin was $1.56{\times}10^{5}$ for krill and $1.78{\times}10^{5}$ for kuruma prawn respectively. Degree of polymerization of N-acetylglucosamine was 750 for krill chitin and 850 for kuruma prawn chitin. Purified chitin showed a higher degree of acetylation, and was relatively rich in methionine residue.

페기물로부터 얻어지는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껍질과 단백질이용의 전망성이 좋은 antarctic krill(Euphasis superba)을 시료로 하여, chitin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보다 효율적인 chitin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추출한 chitin들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들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추출 방법으로 chitin을 추출한 결과 보리새우의 껍질을 출발물질로 한 정제 chitin은 순백색의 powder로 얻어졌으며, 정제 chitin의 질소함량 및 ash함량은 각각 6.64%와 0.4%로 나타났다. krill의 chitin의 경우에는 6.35%의 질소함량과 0.4%의 ash함량을 나타내었다. 고유점도를 측정하여 formic acid 용액계에서 구한 정제 chitin의 분자량은 krill의 경우 $1.56{\times}10^{5}$, 보리새우의 경우 $1.78{\times}10^{5}$, Sigma C 3641이 $0.18{\times}10^{5}$으로 나타났으며, N-acetylglucosamine의 중합도는 krill의 경우 약 750, 보리새우의 경우 약 850이었다. 본 연구의 추출방법으로 정제된 chitin은 비교적 아세틸화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추출후의 아미노산 잔존량 중에서 methionine이 많이 남아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