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Andong sikhe with Lactic Acid Bacteria

유산균을 이용한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

  • Choi, Che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Son, Gyu-M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ent, Changwon Junior College)
  • 최청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손규목 (창원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Published : 1992.09.30

Abstract

The changes in life style today appear many ways. Many housewives turn away from home preparation of the time consuming traditional foods, such as 'Andong sikhe'. The importance, however, of succeeding the traditional cuisines is getting appreciated widely nowaday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of Andong sikhe by use of pure culture inoculation and the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by the addition of stabilizers to the product. Lactobacillus delbreuckii was selected for the pure culture inoculation in the fermentation.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total acidity, sugar content, amino acid and various forms of nitrogen during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The changes in pH of the product, the enzyme activities and the pop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also followed in the process of fermentation. The Lactobacillus dominated in the beginning of the fermentation but the Streptococcus out numbered the former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up to the 4th day of fermentation but slowly decreased there after. The pH of the product rapidly decreased to 4.2 by the 2nd day of fermentation. The total acidity reached to the 0.38% by the 2nd day of fermentation and kept on increasing slowly during the fermentation. The free sugar consisted of 6 kinds including maltose and one unknown sugar. The amino form nitrogen increased up to 38.5mg% at the 2nd day of fermentation and the product tasted best at this time. The ammonia form nitrogen, water soluble and salt soluble protein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Proline and aspartic acid were the two major free amino acids. The free methionine increased while the free lysine decreased in the process of fermentation. The major amino acids of water soluble and salt soluble protein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e arginine content of salt soluble protein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Linoleic, palmitic and oleic acid were the three major fatty acids and occupy 90% or more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activities of acid protease and liquefying amylase reached to the maximum at the 4th day of fermentation while those of saccharogenic amylase and lipase reached to the peak at the 2nd day of fermentation.

국민소득과 문화수준의 향상에 따라 식생활 양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의 안동식혜제조는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법을 계승보존하고 제조공정 및 상품성을 높여 보다 우수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안동식혜로부터 분리 선발한 균주와 종균협회에서 분양받은 젖산균들을 첨가하여 안동식혜를 제조하였다. 안동식혜의 숙성과정 중 성분분석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가장 우수한 L. delbreuckii를 선발하였다. 안동식혜에서 분리한 균은 초기에는 Lactobacillus의 간균이 많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Streptococcus의 구균이 많았다. 숙성기간동안 일반성분의 변화는 조단백질의 함량은 주발효 기간인 4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차차 감소하였고 pH는 급격히 감소하여 2일째 4.20이었으며 총산은 2일째 0.38이었으며 그 후 조금씩 증가하였다. 총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유리당의 조성은 maltose를 포함하여 6종류였으며 또한 미확인 물질도 1개 검출되었다. Maltose의 함량은 4일까지 증가하여 76.4%였으나 그 후로는 감소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2일째 38.5mg%였으며 이며 식혜의 맛이 가장 좋았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및 aspartic acid였으며 methio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lysine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수용성 및 염용해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rmic acid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경우 argi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은 linoleic acid 및 ole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총지방산의 90%이상을 차지하였으며 palmitic acid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cid protease와 liquefying amylase는 숙성 4일째, saccharogenic amylase 와 lipase는 숙성 2일째 가장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