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CARBAMAZEPINE IN AUTISTIC CHILDREN

자폐증 아동에 있어서 Carbamazepine의 치료효과 평가

  • 홍강의 (서울대학소아병원 소아정신과) ;
  • 최진숙 (서울대학소아병원 소아정신과) ;
  • 신민섭 (서울대학소아병원 소아정신과) ;
  • 황용승 (서울의대소아과) ;
  • 안윤옥 (서울의대예방의학과)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A double bhad, placebo controlled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Carbamazepine in autistic children, 23 boys with the diagnosi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ccording to the DSM-IIIR were selected for study subjects, from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 Hospital during Oct. $1989{\sim}Nov.$ 1991. Subjects with histories of medical disease or psychiatric diseases were excluded and all study subjects had drug free periods more than 2 Months.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abamazepine treatment group(N=12) and placebo group(N=11). After the baseline observation periods, the double blind drug treatment and observation were performed for 12 weeks. Several scales (Ritvo-Freedman Real Life atring Scale. Behavior Checklist)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rug treatment during baseline observation periods and the drug treatment periods by two raters blind to the study. Interrater reliability of each scales were .4875~.6613, the socr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rating scores during baseline observation perio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Reduction of total scores in Autsm Behavior Checklist scale, i.e.. improvement of global autistic symptoms were noted significantly in Carbamazepine treatment group. Improvement in significant social maturations according to Vineland Social Mataration scale were observed in both patient groups after drug treetment periods.

자폐증의 임상증상 완화에 대한 Carbamazepin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약으로 대조한 이중맹(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은 1989년 10월부터 1991년 11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DSM-III-R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면서, 부모가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남아로 하였다. 또한 다른 내과적 혹은 정신과적 질환력을 갖지 않으며, 연구 시작전 적어도 2개월이상의 약물복용이 없는 기간을 갖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Cabamazepine치료군과 위약군으로 할당을 무작위적 할당표에 의해 할당하였는데, 각각 12명, 11명이 해당되었다. 연구 대상 아동의 상태를 모르는(blind) 2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기초관찰 기간과 12주의 약물치료 기간후에 측정한 검사도구의 측정값의 변화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보았다. 두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4875-.6613이었다. 기초 관찰기간시 두군사이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검사도구의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치료 기간 종결시 측정한 검사도구의 값과 기초 관찰기간의 값을 비교한 결과, Autism Behavior Checklist상 전체 점수의 유의한 차이(P<.05), 즉 Carbamazepine치료군이 위약군보다 자폐증 증상의 완화정도가 큰 소견을 보였다. Vineland Social Maturation Scale에서는 두군 모두에서 약물 치료 기간동안 사회성숙도상의 발달이 유의한 정도(P<.005)로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