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ntigraphic Findings of Fibrous Dysplasia

섬유성 골 이형성증의 골 신티그라피 소견

  • Kim, Jo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 Il Hospital) ;
  • Kim, J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 Il Hospital) ;
  • Han, Se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 Il Hospital) ;
  • Kim, Sang-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Chang-W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Cha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Heung-Si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종호 (한일병원 내과) ;
  • 김종순 (한일병원 내과) ;
  • 한승수 (한일병원 내과) ;
  • 김상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창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동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창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흥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골 신티 그라피는 섬유성 골 이형성증의 초기 병소와 다골성 형 섬유성 골 이형성증의 진단에 예민한 검사 방법이나, 양성 또는 악성 골 병변과의 감별진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섬유성 골 이형성증 환자 17명에서 (단골성 형 12명, 다골성 형 : 5명) $^{99m}Tc-MDP$ (20 mCi 또는 7,400 MBq) 주사후 $2\sim4$시간에 전면, 후면 전신상과 부분상을 얻은 30부위 병소를 X선 사진과 비교분석 하였으며 CT, MRI 영상과 병리조직 소견을 얻었다. 병소 침습 부위별로는 대퇴골-10예, 경골-4, 요골-2, 늑골-2, 척추골-2, 후두골-2, 장골-2, 두정골-1, 하악골-1, 접형골-1, 견갑골-1, 쇄골-1, 척골-1예 였으며 5명의 다골성 형에서는 :우 대퇴골과 우 비골 : 양측 말단 대퇴골 :좌 경골과 좌 대퇴골 :우 요골과 우 장골 양측 대퇴골, 양측 경골, 접형골, 두정골, 척추골, 늑골과 장골이었다. 골 신티 그라피 소견상 30예중 28예에서(28/30, 93.3%) 방사능 섭취 증가를 보였으며 2예에서(2/30, 6.7%)는 정상 방사능 섭취 소견을 보였으나 각각은 X선상 불투명 유리상과 골흡수 병변을 보였다. 하악골의 골 3상 스캔상 병소에 현저한 혈류 증가가 관찰되었다. X선 소견상 30예중 11예에서 (l1/30, 36.7%) 불투명 유리상의 병변을, 골 변형을 동반한 1예를 포함한 18예에서는 (18/30, 60.0%) 골흡수 병변을 보였으며, 1예의 늑골 병변은 정상소견을 보였다(1/30, 3.3%). 이상에서 골 신티 그라피 만으로 섬유성 골 이형성증을 진단하는데는 주의를 요하나 골 대사의 동적 측면인 혈류와 골 재형성 양상 특히, 초기 병변과 단골성 형 침습에서 다골성 형을 진단하는데 필수적이며 결론적으로 골 신티 그라피와 X선 촬영등은 섬유성 골 이형성증 진단에 상호보완적인 검사 방법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