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phoretic Characterization of Job′s tears (Yulmoo: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 Yeomjoo: Coix lachryma-jobi L.) proteins

율무와 염주 단백질의 전기영동 특성

  • 우자원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1.08.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lectrophoretic properties of Job's tears (Yulmoo: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 Yeomjoo: Coix lachryma-jobi L.) proteins. Albumins, globulins, gliadins and glutelins were extracted from the polished Yulmoo and brown Yeomjoo by the modified Osborne method. For a comparison, rice proteins were extracted and fractionated by the same method. The relative proportions of protein fractions were 17.4 : 19.6 : 55.2 : 7.7% in polished Yulmoo, 12.6 : 62.2 : 4.2 :21.0% in brown Yeomjoo and 14.2 : 57 4 : 0.77 : 27.8% in rice, in the order of albumis, globulins, gliadins and glutelin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were peformed to identify the subfractions of each protein fraction extracted from polished Yulmoo, brown Yeomjoo and rice. The electro-phoregrams of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howed that the same fractions of both polished Yulmoo protein and brown Yeomjoo protein had very similar electrophoretic patterns to each other respectivel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s between Job's tears proteins and rice proteins.

율무와 염주 단백질의 식품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율무쌀, 현염주 및 비교시료로서 쌀의 3가지 시료를 가지고 실험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분리단백질의 분포는 율무쌀의 경우 알부민, 글로불린, 글리아딘 및 글루텔린의 비율이 각각 17.4:19.6:55.2:77%였으며, 현염주는 12.6:62.2:4.2:21.0% 였고, 백미는 14.2:57.4:0.77:27.8% 였다. 그러나 단백질의 분획과정에 변성으로 인하여 글로불린, 글루텔린의 손실이 있었고, 추출율이 상당히 낮아서 3.4∼13.0% 정도였으므로 단백질의 추출방법은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산성 및 염기성 조건에서 실시한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결과, 율무쌀과 현염주의 단백질 분획들은 유사한 전기영동 패턴을 나타냈으며, 백미의 경우는 이들과 다른 전기영동 패턴을 나타냈다.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전기 영동상은 율무쌀과 현염주 간에 band의 분포가 매우 유사하였으나, 그 조성비율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쌀의 경우는 이들과 뚜렷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g1iadin의 경우 율무쌀과 현염주에서는 분자량 10,000∼30,000사이에 여러 개의 띠가 확인되었으나 백미에서는 분자량 12,000 정도에 해당하는 하나의 띠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율무와 염주는 식물학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들과 백미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의 차이는 유전적인 인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