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 Term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Masan Bay: I. Dynamics

마산만 식물플랑크톤의 단기적 변화양상 : 1. 동태

  • PAE, SE JI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YOO, SIN JAE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Published : 1991.03.01

Abstract

Masan Bay is infamous for its severe eutrophication, exemplified by frequent red tide incidences and anoxic conditions. We carried out daily observations for 16 days at one site immediately after the summer rainy season in 1988 on the basis that shorter observation intervals be necessary to observe a process with high turnover rate. in spite of the relatively short survey period, we could observe dramatic changes in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Cell densities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s changed in the magnitude of 70 and 10 times, respectively, Skeletonema costatum, a diatom species, dominated the first peak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was followed by Prorocentrum minimum, a dinoflagellate species, which occurred dominantly in the second peak after about a week, form the viewpoint of time scale, we suggest that at least a weekly sampling might be appropriate in complex coastal environments as Masan Bay. While stratification enabled high production in the surface layer, it hindered the transport of silicate from bottom to the surface, which in turn limited the prolonged growth of diatoms. Ensued second peaks of silicate and diatom abundance in the surface layer suggest periodic flux of silicate from bottom across the discontinuity driven by tidal currents.

마산만은 부영영화의 영향으로 적조와 무산소층이 빈발하는 해역으로 알려져 있 다. 이 해역의 빠른 turnover rate를 고려할 때 보다 짧은 관측 간격을 필요로 하므 르, 1988년 여름 장마 직후 16일간 일일관측을 실시하였다. 비교적 짧은 조사기간에도 불구하고 식물플랑크톤의 양 및 조성에 큰 변화가 있었다. 세포수와 클로로필 농도는 각각 70, 10배의 변화폭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첫 번째 최고점에서는 규조 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 압도적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이는 약 1주일 후의 두 번 째 최고점에서 Prorocentrum minimum으로 우점종의 천이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의 시간 규모로 볼 때 마산만과 같은 복잡한 연안환경에서는 적어도 1주 간격의 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성층은 표층에서 높은 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반면, 저층에서 표층으로의 규산염 공급을 방해하여 규조류의 지속적인 성장을 제한한 것으로 보인다. 표층에서 잇따라 일어났던 규산염 및 규조류 양의 두 번째 최고점은 조류 (tidal current)에 의한 저층으로부터 불연속면을 거쳐 일어나는 규산염의 주기적 (flux)를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