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Influence of Salt on Stabilized Marin Clay with Lime and Cement

해성점토의 석회 및 시멘트 안정처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 정두영 (정회원,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병석 (정회원, 전북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Abstract The stabilization by lime or Portland cement has long been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for clay soil. But it wart the purpose of this reserch to define the effectiveness malt content 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limeflay mixture and cementrlay mixture. From result of a laboratary investigation, saInt content in sample soil was not concernd with variation of PH value. PH value of lime 10% mixture and of cement 10% mixture were near 12.4, 11.6 respectively. In case of more than 7 curing days, PH value and Ca++ion concentration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curing time. Also the result of X-ray difflection analysib for stabilized soil by admixture 10% in 90 curing days showed that the diffrection intensity of Tobermorite and Ettringite and other reaction products was smaller in the case of addition of salt 8% than malt 0% in stabilized soil. When lime-soil mixture and cement-boil mixture were cured in 2$0^{\circ}C$ and 5$^{\circ}C$, 2$0^{\circ}C$ cured mizture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5t cured mixture and air dry curing sample produced higher than cured sample in water. The addition of salt 2~4% in conjuntion with lime or cement may accelerate strenth gain or not prevent front However, the addition of salt 8% prevent from strength gams.

석회 및 시멘트에 의한 안정처리는 이미 일반화 되어있지만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서 토질안정처리를 할 경우 염분이 처리토의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실험 분석한 결과 시료토의 염분함량은 PH변화와는 거의 관계가 없으며 석회나 시멘트 첨가량 10%에서 석회의 PH는 12.4, 시멘트는 11.6에 근접하였다. 또한 양생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PH 와 Ca++이온 농도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고 첨가량 10%의 처리토를 90일 양생한 후 X-ray회절 분석한 결과 NaCl 8%함유의 처리토가 0%함유의 것보다 Tobermonite, Etringite등의 반웅 생성 peak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회와 시멘트 처리토를 2$0^{\circ}C$와 5$^{\circ}C$로 양생 했을 때 2$0^{\circ}C$로 양생한 것이 5$^{\circ}C$로 양생한 것보다 일축압축강도가 크고, 기건양생의 처리토가 수침양생의 것보다 압축 강도가 컸다. 그리고 2~4%의 염분함량은 처리토의 일축압축강도를 촉진시키거나 강도발현을 저해하지 않았으나 8%의 경우에는 강도발현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