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명나방의 발생양상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 이승찬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박해준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발행 : 1991.12.01

초록

우리나라 33개 예찰소를 대상으로 1968년부터 1989년까지 지역별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의 변동과 이앙시기에 따른 성충과 유충발생 및 피해와의 관계,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 등의 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관느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변동을 보면 1968~1972년에 비하여 1985~1989년에는 1화기 발생이 3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광주이고, 20~25일이 상주, 나주이며, 10~15일이 울진, 지누, 고양, 밀양, 김제, 고창등 11개지역이고, 5일정도 앞당겨진 지역은 수원, 진천, 대전, 남원, 해남등 10개지역이며, 지금까지 발생시기 변동이 별로 엇는 지역은 원성, 충주, 서산, 영주, 논산 등지이다. 또한 2화기의 발생이 2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울진이고, 15일이 충주, 영덕, 함천이며, 영주를 제외하고는 그 밖의 대부분지역이 5~10일 정도 더 빨리 발생하였다. 전국 이화명나방 발생량 변동을 보면 1969~1972에 비하여 195~1989년에는 1화기 발생량이 전국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화기에는 중부, 서남부일부 지역에서, 특히 광주, 나주, 대구 등지가 3배이상, 진주, 밀양, 공주 등지는 2배 가량 증가하고, 상주, 청주, 김제 등 8개 지역에서 모두 증가한 반면, 보은, 서산, 논산, 해남 등 19개지역은 감소하였다. 이앙시기를 달리한 포장에서는 유충 발생밀도를 보면 1화기는 이앙이 빠른 포장일수록 발생이 빨고 발생량도 많으며, 2화기의 유충은 중기이앙답(5월 30일)에서 유충발생이 빠르고 peak도 빨리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5월 15일, 6월 15일, 4월 30일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성충발생 peak보다 유충발생 peak는 1화기에는 15일, 2화기에는 10일 정도 후에 나타났다. 이앙시기별 이화명나방의 발생피해는 1화기에는 조기 이앙할수록 피해가 더 심하지만, 2화기에는 증기이앙시(5월 30일)에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이앙시기별 월동전 평균 유충체중은 조기이앙답이 65.6 mg, 중기 이앙답이 61.2 mg, 후기이앙답이 55.5 mg의 순으로 낮았다. Field cage내에서는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은 평균 28.3%~39.8%로 매우 낮은 편으로 빨리한 이앙답일수록 월동유충의 체중이 무거웠고 제중이 무거울수록 우화율이 높은 편이었다.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에서 우화시기까지의 기간은 조기이앙답이 44일, 중기이앙답이 47일, 후기 이앙답이 51일간으로 늦게 이앙할수록 기간이 더 긴 경향이었다.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SRB), Chilo suppressalis Walker,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by 33 light traps of the countrywide monitoring units during the period of 1968-1989. And also relation of incidences between larval and adult populations, emergence time and percent emergence of overwintered larvae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the time of different rice transplantations. Spring moths of SRB in 1985-'89 generally emerged earlier than in 1968-'72 : 30 days earlier at Kwangju, 20 -25 days earlier at Sangju and Naju, 10-15 days earlier at Uljin, Jinju, Goyang, Milyang, Kimhae, etc., 5 days earlier at Suweon, Jinchun, Daejeon, Namweon, Haenam, etc. There was no change in the time of spring moth emergance at Weonseong, Chungju, Seosan, Yongju, and Nonsan. Summer moths of SRB in 1985- '89 also emerged earlier than 1968- '72: 20 days earlier at Uljin, 15 days earlier at Chungju, Yeongdug, and Habchun, 5-10 days earlier at the other areas except Yeongju. There was an overall countrywid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e 1st generation of SRB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population of the 2nd generation also decreased in 19 areas during the same period, but increased in 14 areas including over 3-fold increases in Kwangju, Naju and Daegu, and double increase in Jinju, Milyang and Gongju. The higher larval population density of 1st genration was taken place in the earlier transplanted fields, whereas the population of 2nd generation were higher at mid-season transplanted (May 30), followed by May 15, June 15, and April 30. The peak of larval population appeared generally 15 days after moth peak in 1st generation, and 10 days after moth-peak in 2nd generation. The earlier transplanted fields were the higher percent damage due to 1st off-springs of spring moths, whereas the fields transplanted in mid-season were higher damage due to 2nd off-springs of summer moths. Average body weights of SRB larvae before overwintering were 65.6 mg, 61.2 mg, and 55.5 mg in early, mid-season, and late transplantations, respectively. In field cage experiments, emergence rate of the overwintered larvae ranged from 28.3-39.8%. In other words, body weights of overwintering larvae were heavier in fields by earlier transplantation, and heavier larvae showed higher percentage of adult emergence. The period from overwintered larvae to adult emergence was longer in the fields of the later transplantations; namely, 44, 49, and 51 days for early, mid-season, and late transplantations,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