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다랭이 어획량의 데이터 베이스 처리

Handling of Data Base on the Catch of Bigeye Tuna Thunnus Obesus ( LOWE )

  • 발행 : 1991.12.01

초록

본 연구는 눈다랭이류 위주의 조업을 위한 어장선정의 자료를 제시하고자 태평양, 대서양 및 인도양의 다랭이 연승어업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발행한 13년간의 한국 원양 다랭이 연승어업 어획통계자료 및 어장도이며, 데이터베이스는 16비트 개인용컴퓨터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기동한 후 메뉴화면의 요청에 따라 대양과 데이터형을 선택하면, 먼저 대양의 지도가 칼라모니터에 그려지고, 경위도 5$^{\circ}$구획의 각 해구에 투입낚시수, 조획율 및 눈다랭이 조획비율 등이 표시되므로 어장선정을 위한 판단자료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다. 2) 조획율 예측은 어느 지정된 해역의 월별변동의 자료로부터 최소자승법에 의해 지정된 월의 예측조획율을 구하고, 연도별변동의 자료로부터 지정된 년의 예측조획율을 구해서 이들 둘을 산술평균해서 구하였다. 실제와 예측치를 비교해 본 결과 예측결과가 실제에 비교적 근접되어 나타나서 본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눈다랭이의 어획비율, 어가 및 어체중량에서 볼 때 앞으로 눈다랭이 위주로의 심층조업이 연승어업의 경영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suggest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fishing ground of the bigeye tuna Thunnus obesus(LOWE), a data base system was formed with catch data of the Korean tuna long liners during from 1975 to 1987 by using a set of 16 bits personal computer. This data base was constructed of the handling program and 4 types of data file processed from the monthly and yearly catch data of the whole tunas and the bigeye tuna. And when the system was started, the map of one among various Oceans such as the Pacific, the Atlantic and the Indian Ocean. is drawn on the monitor. And then the catch rates of the whole tunas or the catch ratios of bigeye tunas are indicated by the figured symbols and the colors on the sea divisions of 5$^{\circ}$ space of longitude and latitude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Also this system has the preestimating program on the catch rates of the whole tunas and the bigeye tuna in the desired month and sea divisions. In the results than this data base system was handled and tested, very useful informations were obtained for the detection of tunas, especially bigeye tuna, and the preestimation was possible in a desired lev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