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Glycosyl-Sucrose on Blood Glucose, Serum Lipids and Activities of Carbohydrate Hydrolysing Enzymes in Rats

Glycosyl-Sucrose가 흰쥐가 혈당 및 지질농도와 당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이선영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정영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안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lycosyl-sucrose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s concentrations and carbohydrate hydrolysing enzyme activities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e were divided into 3 experimental groups, cornstarch group(68% cornstarch diet), sucrose group (20% sucrose + 48% cornstarch diet) and glycosyl-sucrose group(20% glycosyl sucrose + 48% cornstarch diet). After 6 weeks, the mean values of food efficiency ratio of 3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of three groups, while the glucose response at 30 and 60 minutes and the group as compared with sucreose area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glycosyl-sucrose group as compared with sucrose group. Serum lipids (T. G., phospholipids, HDL-cholesteol and total lipid)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but a tendency of jejunum and ile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lycosyl-sucrose group as compared with cornstarch group. The maltose hydrolysing enzyme activity, especially in jejunum was lower in glycosyl-sucrose group than in sucrose group.

평균 체중이 $137.51{\pm}4.84g$인 Sprague-Dawley종 수컷 22마리를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68% cornstarch 식이(cornstarch군)와 20% sucrose+48% cornstarch 식이(sucrose군), 그리고 20% glycosylsucrose+48% cornstarch 식이(glycosyl-sucrose군)로 6주간 사육하여 glycosyl-sucrose가 혈당 및 혈청 지질 농도, 당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 효율에 있어서는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Glycosyl-sucrose군에서 공복시의 혈당 농도는 sucrose군과 비교해 차이가 없었으나 포도당 투여 30분 후, 60분 후의 혈당치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충혈당바응면적(total integrated blood glucose response area)도 sucrose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지질 함량은 분석한 지질(중성 지방, 인지질,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모두에 있어 세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췌장-amylase 활성은 glycosyl-sucrose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장 점막, 특히 공장과 회장에서의 서당 가수분해 효소 활성은 glycostyl-surcose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맥아당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은 cornstarch군에 비해 glycostyl-surcose군의 공장과 회장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장에서는 sucrose군보다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