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linity Tolerance of Eggs and Juvenile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난 및 자치어의 염분 내성에 관한 연구

  • CHUN Je-Che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RHo Sum (Department of Aquaculture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1.11.01

Abstract

Underground sea water is widely utilized for land based aquaculture in Cheju province, Korea nowadays. Salinity of this water($20{\~}30$ ppt) is slightly lower than natural sea water but because of its good water quality and temperature which is maintained at $16{\~}18^{\circ}C$ all year-round, many fish farmers are using this water for finfish cultur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underground sea water for the seed production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eceus, hatching rate of fertilized eggs, survival rate of hatched larvae, and growth rate of the juveniles were tested with various salinity levels ranged from 14.1 ppt to 40.2 ppt. The salinity ranges which showed over $70{\%}$ survival rate for fertilized eggs to hatchout were 33.7 ppt${\~}$40.2 ppt, for hatched larvae to 2-day-old were 20.6 ppt${\~}$40.2 ppt, from 10-day-old to 12-day-old were 27.2 ppt${\~}$40.2 ppt, and from 45-day-old to 47-day-old were 20.6 ppt${\~}$40.2 ppt. Two hundred day old fingerlings showed no mortality when exposured to 7.6 ppt${\~}$40.2 ppt for 2 days. All fish died within 3 days when 45-day-old juveniles were transferred directly from normal sea water to 14.1 ppt sea water. However, they were all survived when transferred first to 20.6 ppt for 3 days then to 14.1 ppt sea water. The highest growth rates of fingerlings reared at 4 different salinities (33.7, 27.0, 31.0, or 15 ppt) were obtained at the 27 ppt group followed by 33.7, 21.0, 15 ppt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ys of rearing (X) and the total length of the fingerlings were as follows. $33.7\%$ group : Y=8.8109 + 0.1104X(r=0.999) $27.0{\%}$ group : Y=8.6797 + 0.1208X(r=0.997) $21.0{\%}$ group : Y=8.4081 + 0.1052X(r=0.990) $15.0{\%}$ group : Y=8.4309+ 0.0995X(r=0.990)

제주도에서 년중 수온 $16{\~}18^{\circ}C$, 염분농도 $20{\~}30$ ppt가 유지되는 지하해수를 넙치의 종묘 생산에 이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기 위 해 수정난 및 부화후 각 성장단계별 부화자${\cdot}$치어의 염분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였다. 6 단계의 서로 다른 염분농도 조건하에서 수정난의 부화율과 자${\cdot}$치어의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평균 전장 8.75 cm되는 치어를 대상으로 4 단계의 감분농도로 조정한 폐쇄 순환여과식 사육조에서 63일간 사육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난에서 부화후 200일간의 각 성장단계별 자${\cdot}$치어기의 염분농도에 따른 내성은 비교적 많은 차이가 있었는데, 수정난은 염분 농도 $33.7{\~}40.2$ ppt에서 생존율이 $70{\%}$ 이상이었고, 부화직후의 자어는 $20.6{\~}40.2$ ppt, 부화후 10일째 자어는 $27.2{\~}40.2$ ppt, 부화후 45일째 치어는 $20.6{\~}40.2$ ppt에서 생존율이 $70{\%}$ 이상이었다. 그러나 부화후 200일째 치어는 $7.6{\~}40.2$ ppt에서도 140 시간 동안 모두 생존하였다. 부화후 45 일째 자어를 정상해수 33.7 ppt 에 서 14.1 ppt로 즉시 옮긴 것은 3일째에 전수가 폐사하는데 비하여 20.6 ppt 에서 3일동안 순치시킨 후 14.1 ppt로 옮긴 것은 3일째까지 모두 생존하였다. 폐쇄순환여과식사육수조에 의한 염분농도별 치어사육에서 사육종료시(63일후)의 성장은 27 ppt 구가 평균전장 16.15 cm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33.7, 21.0, 15.0 ppt구의 순이었다. 사육기간중의 각 염분농도별 전장의 일간성장량은 27.0 ppt 구가 1.17 mm로 가장 양호하였고 33.7 ppt 구, 21.0 ppt 구, 15.0 ppt 구의 순이었다. 각 염분농도별 사육일수(X)에 따른 전장(Y)과의 회귀직선식은 $33.7{\%}$ 구 . Y=8.8109 + 0.1104X(r=0.999), $27.0{\%}$ 구 Y=8.6797 + 0.1208X(r=0.997), $21.0{\%}$ 구 : Y=8.4081 + 0.1052X(r=0.990), $15{\%}$ 구 : Y=8.4309 + 0.0995X(r=0.990)로 각각 표시되었으며 각 간의 기울기에 대한 유의차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