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가열처리에 의한 어육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mposition of Fish Meat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s

  • 오광수 (통영수산전문대학 수산가공과) ;
  • 김정균 (통영수산전문대학 수산가공과)
  • Oh, Kwang-Soo (Department of Fisheries Processing, National Tong-Yeong Fisheries Technical College) ;
  • Kim, Jeong-Gyun (Department of Fisheries Processing, National Tong-Yeong Fisheries Technical College)
  • 발행 : 1991.08.01

초록

$121.1^{\circ}C$에서 가열처리했을 때 고등어육의 수분함량은 가열처리 후에, 그리고 Fo값이 커질수록 약간씩 감소하는 반면, 조단백질 함량은 약간씩 증가하였다. pH는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량 역시 급증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자숙처리 및 Fo 5 시료에서는 생시료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가열처리가 더 진행될수록 점차 분해되었다. 고등어육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히스티딘, 타우린, 리진, 알라민, 류우신 및 글루탐산 등이 주성분이었고,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Fo값이 커질수록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히스티딘의 양적 감소가 가장 컸다. 핵산관련물질 중 이노신산 및 아데노신이인산은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아데노신일인산 및 히포크산틴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산화트리메틸아민 함량도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감소한 반면, 트리메틸아민 함량은 급증하였다. 또한 총크레아틴 함량도 가열처리 정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지질성분의 변화에서,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및 갈변물질량은 가열처리 후에 급증하였고, Fo값이 커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지방질(TL)에 대한 비극성(NL) 빛 극성지방질(PL)의 조성비는 생시료가 71.9%, 28.1%였고, Fo 15 시료는 81.5%, 18.5%로서 가열처리 정도에 따라 NL은 증가하는 반면, PL은 감소하였다.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보면, 자숙처리에서는 지방산조성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121.1^{\circ}C$ 열처리에서는 Fo값이 커질수록 22 : 6 등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16 : 0 및 18 : 0 등의 조성비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때 가열처리에 따른 고도불포화지방산의 감소는 대부분이 PL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The mackerel meat was packed in square No 3B can, and thermally processed at $121.1^{\circ}C$ to reach Fo values of 5, 10 and 15. On heating at $121.1^{\circ}C$, pH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increased markedly, and histamine was detected at concentrations of 3.98 mg/100g in raw meat, 10.45 mg/100g in Fo 5 sample, 7.54 mg/100g in Fo 15 sample, respectively.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mackerel meat decreased with increasing Fo values. Little changes were observed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but histidine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heat treatment. Degradation of inosine monophosphate was proceeded during preparation and thermal processing of samples, and trimethylamine oxide changed to trimethylamine almost equivalently. In changes of lipid components, peroxide and carbonyl values were increased markedly during heat treatment. When the sample was heated at the Fo values of 5 or higher, content of non-polar lipid(NL) was increased while that of polar lipid(PL) was decreased, and percentages of polyenes such as 22 : 6 decreased with increasing Fo values. The decomposi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PL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in total lipid and N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