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 Cho, Soo-Churl (Dep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Child and Adalescent Psychiatry)) ;
  • Lee, Myung-Chul (Dep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Nuclear Medicine)) ;
  • Moon, Dae-Hyuk (Dep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Nuclear Medicine))
  • 조수철 (서울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정신과)) ;
  • 이명철 (서울의대 내과학교실(핵의학과)) ;
  • 문대혁 (서울의대 내과학교실(핵의학과))
  • Published : 1990.12.31

Abstract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re largely unknow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euroanatomical lesion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sychopathology,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using HMPAO was performed in 46 ADHDS and Yale Children's Inventory(YCI), Conners Parent Questionaire and DSM-III-R Questionaire for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were used to assess the psychopathology of ADHD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30.4% (14/46) of this series revealed decreased perfusion In SPECT. 2) Regions of hypoperfusion were seen in cerebral cortex(17.4%, 8/46), thalamus(13.0%, 6/46), deep gray matter(8.7%, 4/46), basal ganglia(6.5%, 3/46) and cerebellum(2.2%, 1/ 46). 3) The mean scores of the total YCI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SPECT abnormal versus normal group), and among the subscales, hyperactivity, language and fine-motor subsca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normal findings and specific symptom clusters of ADHDS remains unclear, we can suggest that these abnormal findings could be associated with ADHD, a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DHDS can be subclassified into two groups. This study can be said to reinforce the current conception of heterogeneity of ADHD.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는 학령전기 또는 학령기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질환들 중의 하나로서 학령기아동의 악 $3{\sim}20%$ 의 아동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질환의 원인에 대하여는 유전적인 소인, 사회환경적인 요인등 여러주장들이 있어 왔으나, 임신 전후한 합병증이 많다는 연구, 신경학적인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많이 발견된다는 보고, 납중독과의 관련설, 어머니의 술중독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등은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기질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와 관련있는 뇌의 부위를 연구하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30.4%(14/46)에서 혈류의 감소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소견이 발견된 뇌의 부위는 대뇌피질, 시상부, 실부회백질, 기저핵, 소뇌등 일정하지는 않았다. 정신병리와의 관계에서는 이상소견이 나타난 군에서 심한 장애를 보였으며, 특히 과잉운동. 언어 소운동부분에서의 차이가 뚜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는 크게 뇌의 혈류장애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의 두군으로 대별할 수가 있으며, 향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대상군을 선정하여, 정확한 뇌의 부위를 발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