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증 환자의 두발 중 구리 및 수은 함량과 그 인성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Hair Copper and Mercury Contents to Personality in Chronic Schizophrenia

  • 김두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영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순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근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영숙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Kim, Doo-Hi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ung-W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oon-W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Kuen-H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Ewha University) ;
  • Lee, Young-Soo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Ewha University)
  • 발행 : 1990.09.01

초록

정신분열증과 수은 및 구리와의 관계를 보기 위해 정신병원에 입원중인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중 만 20세에서 29세까지의 남자 80명과 대조군 69명을 대상으로 두발 중 구리와 수은 함량을 원자흡광광도계로써 측정하고 아울러 이들에게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를 실시하였다. MMPI의 각 척도별 T-점수를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Hs, D, Pd, Pa, Pt, Sc척도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나왔고 점수 구간에 따른 분포도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리의 경우 환자군의 두발 중 함량이 $11.17{\pm}3.72ppm$으로 대조군의 $18.93{\pm}7.81ppm$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수은의 경우는 환자군이 $2.42{\pm}1.46ppm$으로서 대조군의 $1.68{\pm}1.07ppm$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때 거주지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구리와 수은은 역상관관계(r=-0.25)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MMPI의 T점수에 따른 구리 함량은 10개 척도 모두에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은의 경우는 Pt척도와 Sc척도에서 각 점수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점수의 70점 이상과 미만의 두 군간을 비교하였을 때는 70점 이상군의 Pa척도, Pt척도, Sc척도에서의 수은 함량이 각각 $2.72{\pm}1.49ppm,\;2.93{\pm}1.27ppm,\;2.66{\pm}1.42ppm$으로서 70점 미만군의 $1.97{\pm}1.30 ppm,\;1.98{\pm}1.32 ppm,\;1.92{\pm}1.29ppm$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척도의 경우에도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지만 Mf척도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70점 이상군이 미만군보다 수은 함량이 더 높았다. 그리고 D, Pa, Sc척도에서는 T점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은 함량도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을 때 구리의 경우 대부분 척도의 각 점수군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함량이 낮았으며 수은의 경우는 D척도의 44점 이하군, Hy척도의 $45{\sim}59$점군, Pd척도의 $60{\sim}69$점군, Mf척도의 $45{\sim}59$점군, Ma척도의 $60{\sim}69$점군, Si척도의 44점 이하군에서만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구리의 결핍이나 수은의 과다 섭취가 정신분열증의 발병 혹은 증상 악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이들 금속과 정신분열증의 상관관계, 그리고 인성과의 관계에 대해 계속 연구해 볼 필요성을 느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opper and mercury contents in the scalp hair and chronic schizophrenia was investigated. The samples of scalp hair were collected from 80 mal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t the age from 20 to 29,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in Seoul. As the control group, 69 males were collected from general population. Hair samples were taken from the napes and the Minnesota Multiple Personality Inventory (MMPI) was performed also. The copper and mercury contents were determined by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ignificantly higher T-score of MMPI was seen in patients group for Hypochondriasis Scale (Hs), Depression Scale (D), Psychopathic Deviate Scale (Pd), Paranoia Scale (Pa), Psychasthenia Scale (Pt), Schizophrenia Scale (Sc) subscales than control group, and the frequency distribution by T-scor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control group for above scales. The content of copper in the hair of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mercury, the mean value of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Between the value of copper and mercury,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0.25) was found. When grouped by the T-score of MMPI, there was no difference of copper contents between T-score subgroup at all MMPI scale. But the mercury cont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score subgroup at Pt, Sc scale. When compared between the group of above 70 T-score and the group of less than 70, the mercury contents of Pa, Pt, Sc scale of above 70 T-scor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less than 70. In other scales, the mercury content of the above 70 group were higher than the group of less than 70 except Mf scale,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scally significances. In D, Pa, Sc scales, as the T-score of MMPI increased, the contents of mercury also increased. When divided into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pper contents of the pati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t each T-score scale in most MMPI scales. In the case of mercury, the value of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ss than 44 scale of D, in the $60{\sim}69$ scale of Pd, in the $45{\sim}59$ scale of Mf, in the $60{\sim}69$ scale of Ma, in the less than 44 of S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he deficiency of copper or high intake of mecury on schizophrenia and personality may be of possible value. Thu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schizophrenia and personality formation would be attributed to copper deficiency or mercury intak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