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이 시호(柴胡)(Bupleurum falcatum L.)근(根) 중(中)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Fertility and the Inorganic Nutrients in the Root on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c in the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 장상문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 박병윤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 최정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발행 : 1990.03.31

초록

시호(柴胡)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산지에서 채취(採取)한 1년근(年根) 중(中)의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과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의 관계(關係)를 규명하였다.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0.141~0.479%와 0.042~0.094%의 범위에 속(屬)하였다. Saikosaponin a의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Fe의 함량(含量)과 공(共)히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favourable soil conditions to give good quality of Bupleuri Radix for Korean medicine. The major ingredients were saikosaponin a and c, which were determined by HPLC.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and c in the root were determined to be 0.141-0.479% and 0.042-0.094%, respectively. The content of saikosaponin 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nitrogen contents in surface soils, but that of saikosaponin c was independ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and c were decreased in the root with high Ca and F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