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of Land Use and Stand Volume around Mt. Kuem-O using Aerial Photographs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금오산(金烏山) 지역(地域)의 토지이용(土地利用) 및 임분재적(林分材積)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Oh, Dong Ha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ap Duk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90.07.09
  • Published : 199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land use and stand volume around Mt. Kuem-O by B/W aerial photographs in 1979 and B/W Infrared aerial photographs in 1988.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In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 on aerial photographs, coniferous stand was dark tone and hardwood stand was light tone and irregularly rounded crowns. 2. In classification of coniferous stand, Pinus densiflora was narraw cone and rounded tip of crowns and rough texture, Pinus rigida was irregulary rounded and broadly conical crowns. 3. To refer to changes of forest land area, mixed forest was changed into P. desiflora (687ha), P. rigida (130ha) and hardwood stand (219ha). 4.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crown diameter and DBH were significant at 1% level by F-test in all stands. So the equation, D=a+bCD was used to estimate DBH. 5. The tree height curve equations were significant at 1% level by F-test in all stands. To estimate tree height the equation, logH=loga+blogD was adopted in P. densiflora and L. leptolepis and $H=a-bD+cD^2$ was adopted in P. rigida, hardwood stand and mixed forest. 6. The highest volume per hectare was observed in L. leptolepis and mixed forest showed the greatest growth percentage, while the lowest volume per hectare and growth percentage were observed in hardwood stand.

1979년 촬영한 흑백항공사진(黑白航空寫眞)과 1988년 촬영한 흑백적외선항공사진(黑白赤外線航空寫眞)을 이용하여 금오산지역(金烏山地域)의 토지이용변화(土地利用變化)와 임분재적(林分材積)의 변화(變化)에 관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공사진상의 임상구분에 있어서 색조(色調)가 어두운 것은 침엽수림(針葉樹林), 색조(色調)가 밝고 수관이 매우 불규칙한 것은 활엽수림(闊葉樹休)으로 구분되었다. 2. 칩엽수림중 수관이 좁은 원추형이고 감촉(感觸)이 조(粗)하고 끝이 둥근 것은 소나무림, 감촉(感觸)이 세(細)하고 끝이 뾰족한 것은 리기다소나무림으로 구분되었고, 수관이 불규칙하고 넓은 원추형은 낙엽송림으로 구분되었다. 3. 임지(林地)의 면적변화(面積變化)를 살펴보면 혼효림에서 678ha가 소나무림으로, 130ha가 리기다소나무림으로 변화되었고 219ha가 활엽수림으로 변화되었다. 활엽수림은 279ha가 혼효림으로 변화되었다. 4. 수관직경(樹冠直徑)과 흉고직경(胸高直徑)과의 회귀식(回歸式)을 구하여 F-test한 결과, 모든 수종의 임분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소나무림과 혼효림과 활엽수림에서는 $H=a+bD+cD^2$, 리기다소나무림과 낙엽송림에서는 logD=loga+blogCD 식이 $R^2$값이 높았다. 모든 수종의 임분에서 D=a+bCD의 식이 좋아 흉고직경계산시(胸高直徑計算時) 이 식을 이용하였다. 5. 수고(樹高)를 구하기 위하여 수고곡선식(樹高曲線式)을 유도하여 F-test를 한 결과 모두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소나무림과 낙엽송림에서는 logH=loga+blogD, 리기다소나무림, 활엽수림 및 흔효림에서는 $H=a+bD+cD^2$이 좋았다. 6. ha당 재적(材積)이 가장 좋은 임분은 낙엽송림이고, 성장률(成長率)이 가장 좋은 임분은 혼효림이었다. 활엽수림은 ha당 재적과 성장율에 있어 가장 낮았다. 연간성장량(年間成長量)은 낙엽송림이 $4.005m^3/ha$로 가장 좋았고, 활엽수림이 $0.682m^3/ha$로 가장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