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 Affinity of Korean Weedy Rice to the Cultivars

국내 수집 잡초성 벼의 재배 품종에 대한 잡종 친화성

  • Published : 1990.06.01

Abstract

Weedy rice(red rice) collected in Korea were crossed with the Japonica, Javanica and Indica tester cultivars, and also crossed among those collected lines. Their seed fertility was counted and refered to their cross affinities. Some tester cultivars such as, Suweongjo, Malagkit Sinaguing and wx 817 which were regarded as belong to the Japonica, Javanica and Indica respectively, showed the typical tendencies of hybrid sterility when they were crossed each other. But, other testers such as Kwanak, Tapaiko, Belle Patna and Tarichaosun showed some differencies from those typical patterns, implying some varigations within a ecotype. The hybrids of weedy rice crossed to the Japonica testers showed higher fertility with a few semisterilities. While the crosses of weedy rice to the Javanicas or Indicas showed high sterility implying closer affinity relationships of weedy rice to the Japonicas. Even those weedy rice lines such as Samsanmyeon 8 and Sanchungaengmi B which showed semi-sterility when they were crossed to the Japonica testers showed high sterility when they were crossed to both Javanicas and Indicas. The hybrids among weedy rice lines showed high fertility raning 69% to 96%. Even those weedy rice lines which showed semi-sterility in the crosses with Japonica testers, showed high-fertility when they were crossed with those weedy rice lines. Though the amylose content, Alkali Digestive Value, Phenol reaction and grain shapes of theose weedy rice lines showed divers variations, the cross affinities of them showed closer phylogenie relationship to the Japonicas than to Japvanicas or Indicas. But the genetic influinces of Indicas to those weedy rices were not ignorable.

국내에서 수집된 잡초형 벼 7계통을 Japonica, Javanica 및 Indica 검정종으로 교잡하여 잡종(F$_1$)의 종자임성을 가지고 그들의 재배종과의 친화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정종으로 사용된 Japonica, Javanica 및 Indica에 속하는 품종군간의 잡종임성은 각 생태형간의 전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조합도 있었지만 생태형내에서의 분화를 인정할 수 있는 조합도 있었다. 수원조, M. Sinaguing 및 wx817 품종간 조합은 각각 Japonica, Javanica, Indica형간 조합의 곡형적인 것이고 기타 품종들의 조합에서는 각 생태형군내의 분화를 인정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2. 공시 잡초형 계통들과 검정종들과의 잡종임성은 Japonica와는 반불임내지 완전임성에 가까운 변이를 보였지만 Javanica나 Indica와는 심한 불임을 나타내어 잡초형 계통들이 Japonica에 근록인 것 같이 나타났다. Japonica와의 조합에서 반불임을 보인 출청액미 B나 삼산면 8은 Javanica나 Indica 검정종과의 조합에서 심한 불임을 나타내어 이들이 Indica나 Javanica와 근록인 것 같지는 않았다. 3. 잡초형계통 상호간의 잡종임성은 조합별로는 최저 69%, 최고 96%로 계통평균으로는 75%에서 92%에 달하여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Japonica 검정종과의 잡종에서 반불임을 보였던 2계통은 잡초형계통 상호간 조합평균임성이 1, 2위로 높았다. 4. 잡초형계통들의 Amylose함량, A.D.V.phenol 반응 및 립형은 매우 다양하며, Japonica 검정종과의 잡종친화성도 다양하지만 Javanica나 Indica보다는 Japonica에 유록이 더 가깝지만 Indica 혈통의 영향도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