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 and Subtidal Region o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서해 경기 내만해역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동물군집

  • Received : 1989.11.03
  • Accepted : 1989.12.30
  • Published : 1989.12.01

Abstract

An investigation on the soft-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inner Kyeonggi Bay was conducted in July, October of 1987 and February, May of 1988. The benthic fauna comprised a total of 87 species and showed mean density of 550 indiv./$m^2$. Major faunal groups are polychaetes, molluks, and crustaceans, corresponding to 64.7%, 17.4%, and 15.2% in total abundance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Tharyx sp. (10.9%), and followed by Mactra veneriformis (10.5%), Mediomastus sp. (8.6%), and Glycinde sp. (8.0%) etc.. The important species in the intertidal zone were Mactra veneriformis, Hinia festiva, and Nephtys californiensis, whereas those in subtidal channel region were Tharyx sp., medi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and Nephtys polybranchia.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4 station group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two groups within interidal flat and two in channel regions. Each station group sustained its specific benthic faunal assemblage; Mactra-Hinia, Aricidea-Haploscoloplos assemblages in the intertidal flat and Harpiniopsis-Urothoe, Mediomastus-Sternaspis assemblages in the subtidal channel region. The Mediomastus-Sternaspis assemblage showed the highest species number and population density, and also did the highest diversity and evenness indices. The Harpiniopsis-Urothoe assemblage showed the po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and so recorded the highest dominance index. Two assemblages in the intertidal flat had the intermediate values in all the biological parameters. The northern channel region of zone S-2 showed the high abundance in species composition, which seems to be caused by the heterogeneous sediment and the organic enrichment from the Han River and the Incheon industrial complex.

1987년과 1988년의 2년에 걸쳐 경기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87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서식밀도는 550개체/$m^2$에 달하였다. 주요 동물군은 다모류, 연체동물, 갑각류 등이며, 이들은 총 출현개체수 중 각각 64.7, 17.4, 15.2%를 차지하였다. 경기만의 주요 저서종은 Tharyx sp.(10.9%), Mactra veneriformis(10.5%), Mediomastus sp.(8.6%) 그리고 Glycinde sp.(8.0%)등이었다. 이 중 조간대 지역의 대표적인 종은 Mactra veneriformis, Hinia festiva 그리고 Nephtys californiensis 등이었고, 반면 조하대의 수로지역에서는 Tharyx sp., Medi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그리고 Nephtys polybranchia 등이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종 조성에 근거하여 조간대에 2개, 조하대의 수로지역에 2개 등 총 4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각 정점군에는 특징적인 저서동물 군집이 분포하는데, 조간대 지역에는 Maxtra-Hinia 군집과 Aricidea-Haploscoloplos 군집, 수로지역에는 Harpiniopsis-Urothoe 군집과 Mediomastus-Sternaspis 군집 등이다. 이중 Mediomastus-Sternaspis 군집에서 출현 종수와 서식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 다양성 및 균등도 지수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Harpiniopsis-Urothoe 군집은 출현 종수 및 서식밀도가 가장 빈약하며, 또한 우점도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조간대에 위치하는 2개의 군집에서는 모든 생물학적인 지표가 중간 정도의 값을 보였다.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의 북부 수로지역에서 출현 종수 및 서식밀도가 특히 높게 나타나는 것은 퇴적물내 자갈과 진흙이 혼재하는 이질적인 퇴적환경과 근접한 한강 및 인천공업단지로부터의 유기물 유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