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류학회지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제1권1_2호
- /
- Pages.83-92
- /
- 1989
- /
- 1225-8598(pISSN)
- /
- 2288-3371(eISSN)
韓國産 납자루아과어류(亞科魚類)의 인두치(咽頭齒)와 저작돌기(咀嚼突起)
Pharyngeal Teeth and Masticatory Process of the Basioccipital Bone in Korean Bitterlings (Teleostomi : Cyprinidae)
- Suzuki, Nobuhiro (Hayama Fisheries Res. Lab., Kajima Institute of Kajima Corp.) ;
- Jeon, Sang-Ri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Sang Myung Women’s University)
- 발행 : 1989.12.30
초록
한국산(韓國産)납자루아과어류(科魚類) 10종(種)의 인두치(咽頭齒)에 있어서의 교합구(咬合溝)와 제1치(第1齒) 저작면(咀嚼面) 및 기저후두골(基底後頭骨)의 저작돌기(咀嚼突起)의 형태(形態)를 비교(比較)하였다. 종전(從前)에 인두치(咽頭齒)와 교합면(咬合面)에 홈(溝)이 없다고 알려져 있는 종류(種類)(납자루, 칼납자루, 묵납자루, 납줄갱이, 줄납자루 등(等))에서도 축소(縮小)된 교합구(咬合溝)가 존재(存在)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기저후두골(基底後頭骨)에 있는 저작돌기(咀嚼突起)의 형태(形態)는 그 전연부(前緣部)가 미발달(未發達)된 마제형(馬蹄形)을 이루는 경우와 전연부(前緣部)가 약간(若干) 들어간 계란형(鷄卵形)을 이루는 경우로 대별(大別)되었다. 또한 인두치(咽頭齒)의 교합구(咬合溝)는 축소(縮小)된 경우와 비교적(比較的) 발달(發達)되는 경우로 구분(區分)되었으며 제제1치(第1齒)의 저작면(咀嚼面)은 비교적(比較的) 미발달(未發達)된 경우와 비교적(比較的) 발달(發達)된 경우 및 잘 발달(發達)된 경우의 세가지로 구분(區分)되었다. 그리고 이들 형태변화(形態變化)는 납자루류(類)의 식성(食性)과 관련(關連)이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그리고 각시붕어의 교합면(咬合面)에도 발달(發達)된 홈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교합구(咬合溝)는 축소(縮小)된 교합구(咬合溝)를 지니는 종(種)과 유사(類似)했다. 그러나 각시붕어의 기저후두골(基底後頭骨)의 저작돌기(咀嚼突起)의 형태(形態)는 마제형(馬蹄形)으로 납줄개속(屬) Rhodeus에서는 특이(特異)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면 각시붕어는 납자루아과어류중(亞科魚類中)에서는 원시적(原始的)인 종(種)과 이러한 형질(形質)을 공유(共有)하는 점(點)에서 납줄개속(屬) 중(中)에서는 비교적(比較的) 조상적(祖上的)인 종(種)이라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사실(事實)을 고려(考慮)하여 인두치계(咽頭齒系)를 이상(以上)의 세가지 형태적특징(形態的特徵)을 조합(組合)하여 한국산(韓國産)납자루아과어류(亞科魚類)를 구분(區分)한다면 두가지의 group 및 두가지의 type나 또는 다섯가지의 subtype으로 유형(類型)이 구분(區分)되었으며 이 결과(結果)는 일본산(日本産)납자루아과어류(亞科魚類)의 인두치계(咽頭齒系)에 바탕을 둔 Suzuki and Hibiya(1985)의 유형구분(類型區分)과 잘 일치(一致)했다.
The pharyngeal teeth and the masticatory process of the basioccipital bone were compared in ten species of Korean bitterlings. Three species, Acheilognathus lanceolata, A. limbatus, A. signifier and Rhodeus ocellatu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serrations on the side of the pharyngeal teeth, are found to, have reduced occlusal grooves on the outside of occlusal margin, Among Korean bitterlings,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developmental degrees of the anterior part of the masticatory process, the grooves on the occlusal surface and the chewing area on the pharyngeal first tooth. The occlusal grooves in herbivorous species are considered to be more developed than those in omnivorous specie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e combination of developmental degrees in the three pharyngeal elements suggests generally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Korean bitterling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