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ity of Referral of High Risk Pregnancy in MCH Center

모자 보건 센터에서의 고위험 산모 의뢰 기준의 타당성

  • Kim, Gui-Ye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ung-H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귀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정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89.03.01

Abstract

To test the validity of referral of high risk pregnancy in the MCH Center, 6,017 pregnant women who visited MCH Center of South District Health Center for delivery between 1 April 1985 and 31 March 1987 were interviewed on arrival to obtain the data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steric history and traced to check the delivery outcome. Out of 5,820 women whose delivery outcomes were confrmed, 704 women(12.1%) were referred to other hospital or clinic for high risk factors. The proportion of poor delivery outcome(stillbirth, low birth weight and neonatal death) among referred cases was 4.4% while that of the women delivered at the MCH Center was 2.2% (p<0.01). Decision of the midwives for the referral of high risk pregnancy based on their clinical assessment was consistent with the delivery outcome (good or poor) in 86.5%. Major reasons for referral wer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46.5%) and cephalopelvic disproportion(20.0%) and the C-section rates for these cases were 10.1%, 17.6%, respectively.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stertric history for the discrimination of delivery outcome showed that gestational age had the highest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0.88) and it was followed by parity(0.37) and maternal education(0.30). Referral of high risk pregnancy by the midwives based on their clinical assessment was considered to be reasonably valid. However, a risk scoring system for an MCH Center which can improve the validity may be developed if one applies the discriminant analysis for more comprehensive independent variable(including clinical assessment of midwif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 history) and dependent variable (including medically indicated C-section, complication of pregnancy and delivery, stillbirth, low birth weight, neonatal death and maternal death).

대구시 남구 보건소 모자 보건 센터의 조산원들이 고위험 임부로 판정하여 타의료 기관으로 의뢰한 것이 어느 정도 타당한지를 알아 보기 위해 1985년 4월 1일에서 1987년 3월 31일 사이에 분만을 위해 모자 보건 센터를 방문한 임부 6,017명을 대상으로 센터에 도착하는 즉시 본 연구를 위한 전임 요원이 일반적 특성과 산과력을 면접 조사하고 임신 결과를 추적 조사하였다. 추적 조사가 가능했던 5,820명 가운데 704명(12.1%)이 의뢰되었는데 분만 결과가 불량(사산, 저체중아, 신생아 사망)했던 경우는 의뢰된 임부 가운데 4.4%로 센터에서 분만한 임부의 2.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1) 조산원들의 임상적 소견으로 의뢰 여부를 판정한 것이 분만 결과와의 일치율은 86.5%였다. 의뢰 이유는 조기 파수(46.5%)와 아두 골반 불균형(20.2%)이 가장 많았는데 이들도 제왕 절개 분만율이 각각 10.1%, 17.6%로 대부분 정상아를 분만하였다. 임산 소견을 제외한 임부의 특성과 산과력으로 임신 결과를 판별 분석한 결과 재태기간이 가장 높은 판별 계수(0.88)를 보였고 그 다음이 출산 회수(0.37), 임부의 교육 수준(0.30)의 순이었으며 이 세가지 요인으로 임신 결과를 옳게 판정할 수 있는 비율이 65.6%로 조산원들이 판단하 일치율보다 낮았다. 조산원들이 임상적 경험에 의해 고위험 산모를 판정하고 있는 것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나 그들의 판정 기준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결과와 임부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력을 모두 독립 변수로 하고 불량한 임신결과에 꼭 필요한 제왕 절개 분만, 임신 및 분만의 합병증을 포함하여 종속 변수로 한 판별 분석을 한다면 우리 나라 모자 보건센터에 적합한 위험치 사정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