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 to Low Temperature of Rice Cultivars for Mid- Northern Area at Rooting Stage after Transplanting

중북부 지방 벼 장려품종의 활착기 저온반응의 차이

  • 김기식 (강원도농촌진흥원) ;
  • 사종구 (강원도농촌진흥원) ;
  • 허범량 (강원도농촌진흥원 일본동북농업시험장 일본동북농업시험장)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varietal responses of low temperature; 14$^{\circ}C$ and 12$^{\circ}C$. at rooting stage of the recommended rice varieties in middle boreal area. The varieties showed discoloration resistance are Sobaegbyeo. Baegambyeo. Hwaseongbyeo Chiagbyeo. Dobongbyeo and Daeseongbyeo. varieties wi th no root growing under low temperature are Taebaegbyeo. Samgangbyeo. Baegyangbyeo. Pungsanbyeo and Sangpungbyeo. The varieties showed dark green leaf color and high rooting rate are Sangpungbyeo. Chiagbyeo. Odaebyeo. Unbongbyeo. Dobongbyeo. Hwaseongbyeo. Sobaegbyeo and Daeseongbyeo. light-green of leaf color and low rate of rooting are Taebaegbyeo. Baegyangbyeo. Samgangbyeo and Nongbaegbyeo.

중북부 지방의 재배벼로 지정된 태백벼외 18개 장려품종들에 대한 생육시기 저온반응을 구명하고자 14$^{\circ}C$와 12$^{\circ}C$의 Growth chamber 내에서 저온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은 소백벼, 백암벼, 설악벼, 화성벼, 치악벼, 도봉벼, 대성벼, 상풍벼, 천마벼 등이었다. 2. SPAD 치에 의한 엽색의 정도는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들이 높았다. 3. 저온처리시 뿌리의 신장을 전혀 보이지 않았던 품종은 태백벼, 삼강벼, 백양벼, 풍산벼, 상풍벼, 진여 등이었다. 4. 저온처리후 20일 경과시 발근장과 발근수는 대성벼, 오태벼, 화성벼, 성락벼, 치악벼, 운봉벼, 소백벼 등이 많았다. 5. 활착기에 저온처리를 당했던 품종은 온도가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하더라도 2~11일 정도 출수지연 현상을 보였다. 7. 엽색이 농록이고 발근율도 높은 품종은 상품벼, 치악벼, 오태벼, 소백벼, 운봉벼, 설악벼, 도봉벼, 화성벼, 대서여 등이었고, 엽색농도가 낮고 발근율도 낮은 품종은 백양벼, 태백벼, 삼강벼, 농백 등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