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주요결과

  • 발행 : 1989.06.01

초록

도시화 및 산업화는 가족의 애정기능 증대, 친족관계 약화, 공사영역분리,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 및 취업기회 증가, 부부관계의 평등성 추구 등을 통해 이혼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혼인·이혼신고 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70년∼1995년 동안 발생한 한국의 성별, 연령별, 시도별, 교육수준별 이혼율을 비교하였다. 이혼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이혼율, 일반이혼율, 연령별이혼율, 연령표준화 이혼을 전체인구와 유배우인구를 대상으로 각각 산출하였고, 각종 이혼력 지표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1970년∼1995년 동안 이혼율이 3배 증가하였으며, 1995년 현재 유배우인구 천 명당 3.2건의 이혼이 발생하였다. 동기간 동안 24세 이하 연령층의 이혼율이 가장 높았고, 전 연령층에 걸쳐 빠른 속도로 이혼율이 증가하였는데, 증년층의 이혼율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고, 남성보다는 여성의 상대적 이혼율 증가 정도가 더 빨랐다. 시도별 이혼율은 전연령층에 걸쳐 서울, 부산, 인천, 대전, 경기, 제주도가 높았고, 강원도와 전라북도 25∼34세 연령층의 이혼율이 높았다. 교육수준별 이혼율이 남자는 초등학교 졸업집단에서, 여자는 고등학교 졸업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남자는 대졸 이상 집단, 여자는 무학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ndustrialiBation and urbanisation have been known to increase divorce rat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function of flmily, the weakness of extendedfamilial network, the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te spheres, increase of educationallevel for women, increase of labor participation rate for women, and the pursuit ofegalitarian relationship for the couple. Divorce rates by sex, age, province andeducation in Korea for the period 1970 ~ 1995 were examined using the data ofmarriage and divorce registration and population census. Crude divorce rates, sex-age-specific divorce rates and sex-age-adjusted divorce rates were calculated for thetotal population and the married population respectively, and the characteristics ofvarious divorce indicators were discussed. During 1970~1995, divorce rates increasedthree times, and divorce rate in 1995 was 3.5 per 1,000 married persons. Divorcerate was highest for those under 25 years old, and it was increasing rapidly fDr allages, with the most rapid increase fDr the middle-aged. The relative divorce increaserate was highest fDr females than males. Divorce rates were highest for Seoul, Pusan,Inchon, Taejon, Kyonggi, and Jeju, and for aged 25 ~ 34 years of Chonbuk andKangwon. Divorce rate was highest fDr the male elementary-school graduates andlowest for the male college graduates, it was highest for the female high-schoolgraduates and lowest for the female uneduca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