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ntitative Study of Sole Prints in Koreans

한국인의 족문에 관한 정량적 연구

  • Lee, Geum-Yeong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Science, Chonbuk University) ;
  • Oh, Young-Nam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Science, Chonbuk University) ;
  • Ma, Jae-Young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Cho, Ching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이금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오영남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마재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생물학) ;
  • 조징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생물학)
  • Published : 1989.04.01

Abstract

The dermatoglyphic paffems of the hands and feet form during early fetal life and thereafter remain essentially unchanged. These traits are useful to study gene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prenatal life and used in practice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of some diseases. The students of 112 male and 118 female were tested for the paffems of plantar regions. The most common patterns were open fields in the four interdigital areas and the frequency of the mirror pattern on them was 57.2%. For a-b, b-c and c-d ridge counts of the plantar interdigital areas sampled from 105 male and 109 female students, the non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both sexes and between both feet.

한국인 정상 남자 112명, 여자 118명 총 230명의 460족척에 나타난 피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족척의 중간부의 융선 방향은 횡행, 경도의 비골측 근위경사, 경도의 비골측 근위경사, 뚜렷한 비골측 원위경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간부의 융선 배열에 대한 대칭 빈도는 63.9%로 나타났다. 2) 무지구부 문형은 원위측 제상문, 와상문, 개방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무지구에 나타난 대칭 빈도는 83.2%이였다. 3) 지간부 문형은 II 지간부에서는 개방문, 원위측 제상문, 근위측 제상문, 와상문의 순으로, III지간부에서는 개방문, 원위측 제상문, 와상문, 근위측 제상문의 순으로, IV지간부에서는 개방문, 원위측 제상문, 와상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지간부 융선수는 a-b 57.76, b-c 70.74, c-d 75.09이며 남녀 사이, 또는 양족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