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현미와 백미의 극성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 Lee, Hee-Ja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Jungkyong Technical College) ;
  • Lee, Hyun-Joo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Chosun University) ;
  • Byun, Si-Myu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KAIST) ;
  • Kim, Hyong-Soo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Yonsei University)
  • 이희자 (중경공업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이현주 (조선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 변시명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
  • 김형수 (연세대학교 가정대학 식생활학과)
  • Published : 1989.04.01

Abstract

The composition of glycolipid, phospholipid and fatty acid of brown rice, milled rice and bran were studied for four varieties of rice such as Nampung, Milyang # 23, Whasung and Jinhung. The content of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in glycolipids was the highest in the brown rice, milled rice and bran.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and steryl glycosides(SG) were the second highest. Of the phospholipids, phosphatidyl cholines(PC) + phosphatidyl serines(PS) were the next. Fatty acid composition of glycolipids were different from total lipids and neutral lipids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Palmitic acid content was very high and oleic acid content was low in glycolipids. The major fatty acid components of phospholipids in brown and milled rice were also palmitic, linoleic and oleic acid. In the bran, the major fatty acid class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milled rice.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에서 추출한 극성지질의 조성을 TLC로 분별 정량하였고,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지질은 TLC 상에 6가지가 분리되었으며,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함량이 가장 높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와 steryl glycosides(SG) 함량은 다음으로 둘은 비슷한 값이었다. 현미와 백미 그리고 겨의 ESG함량은 51.05%, 47.88%, 50.76%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MGDG는 겨에서 높았고, SG, cerebrosides(CB), digalactosyl diglycerides(DGDG)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2. 인지질은 TLC 상에서 7가지가 분리되었고 이중 phosphatidyl cholines(PC)와 phosphatidyl serines(PS)는 겹쳐져서 나타났으며, 한가지의 확인할 수 없는 물질이 있었다. 인지질 조성은 PC+PS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현미중의 PC+PS가 62.0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PE로 시료 군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와 백미에서는 총 지질, 중성지질의 조성과는 달리 palmitic acid의 함량이 30.84%, 34.13%로 매우 높아서 linoleic acid 함량과 비슷하였고 oleic acid 함량이 23.11%, 18.11%로 매우 낮았다. 이와 달리 겨는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이 linoleic acid 그리고 Palmitic acid 였다. 4.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3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oleic acid로 34.04% 였으며, palmitic acid는 22.60%였다.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0.55%로 가장 높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으며, oleic acid는 현미와는 달리 함량이 낮았다. 한편 겨는 현미, 백미와는 달리 남풍, 화성, 진흥에서 myristic acid 함량이 각각 37.53%, 44.20%, 45.42%로 가장 높고 linoleic, oleic, palmitic acid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밀양 23호 겨만이 oleic, linoleic acid 함량이 비슷하게 37% 정도였고, palmitic acid 20.52%, myristic acid가 2.02%로 현미, 백미의 조성 비율과 비슷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