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sources and NaCl Concentrations in Media on the Intra-and Extracellular Proteinase Activities of Streptococcus cremoris $ML_4$ and Streptococcus lactis $ML_8$

Streptococcus cremoris $ML_4$ 및 Streptococcus lactis $ML_8$의 생육중 질소원과 염농도가 세포내 및 세포외 프로테이나제 역가에 미치는 영향

  • Chang, Hae-Cho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ng-J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89.0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and nitrogen sources in the medium for the Streptococci on the intra- and extracellular proteinase(ICP and ECP) which have been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es for the bitter peptide formation, Streptococcus lactis $ML_8$ and Streptococcus cremoris $ML_4$ strains were incubated at 0-4% NaCl in the medium and Na-caseinate as a nitrogen source 0-100%, and the cell growth, ICP and ECP activities were analyz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NaCl in the medium increased, the growth and ECP activity decreased but the ICP $activity/10^{10}$ cells increased on the contrary. This implied that the NaCl in the medium affects only the ECP which is associated mainly to the cell wall and cell membrane but not the ICP activity. When the content of the caseinate instead of other low molecular nitrogen sources were increased in the medium, the cell growth was lowered while the ECP activities increased probably by induction of proteinase production.

Streptococci의 배양중의 염의 농도나 배지내 질소원의 조성 등이 쓴 맛 펩타이드의 형성에 깊이 관여한다고 알려진 세포내 및 세포외 프로테이나제(ICP, ECP)의 역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treptococcus lactis $ML_8$ 및 Streptococcus cremoris $ML_4$ 두 균주를 NaCl 농도 $0{\sim}4%$, 배지 질소원중 카제인 함량을 $0{\sim}100%$로 달리한 조건에서 배양하고 그 때의 생육도와 균체내 및 균체외 프로테이나제의 역가를 측정하고 또한 같은 균체수에서의 프로테이나제 역가를 비교하기 위해 $10^{10}$ 세포당 효소의 역가도 계산하였다. 배지중 NaC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체의 생육과 ECP의 역가는 감소했으나 ICP의 경우 $10^{10}$ 세포당 역가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배지중 NaCl이 세포벽과 세포막에 관련된 ECP의 역가에만 직접 영향을 미치고 ICP의 역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배지의 질소원중 미분해 단백질인 카제인의 함량을 높게 하였을 때 균체의 생육은 낮았으나 효소 생산계 촉진에 의해 ECP의 역가는 두 균주 모두 높아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