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overed and naked barley starches and those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beta}-amylosis\;limit(%)$ of covered and naked barley starches were 58.6 and 56.3%,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ir amyloses and amylopectins were 87.0, 77.7, 57.6 and 52.0%, respectively. The ratios of outer chain length ${\overline{OCL}}$ and inner chain length${\overline{ICL}}$ for amylopectins of covered and naked barley were about 2.2:1 and 2.0:1, respectively. The elution curves by Sephadex G-75 after debranching starches with pullulanase were similar patterns for two starches and yielded two peaks consisting of amylose component${\overline{dp}}>55$ and bimodal amylopectin components of ${\overline{dp}_(35-45)$ and ${\overline{dp}}(10-20)$ hydrolysates. Also, hydrolysis products by sequential hydrolysis with pullulanase and ${\beta}-amylase$ contained 0.03-0.5% non-hydrolyzed peak components of ${\overline{dp}}>55$. The elution profiles of ${\beta}-amylase$ hydrolysates yielded two peaks consisting of the inner components${\overline{dp}}>55$ and the outer chain components of amylopectin${\overline{dp}}>10$ regardless of samples. However, ${\overline{dp}}$ distributions of ${\overline{dp}>55}$ hydrolysates exhibi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the varieties.
겉보리와 쌀보리의 전분 및 이들의 구성성분인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분자 구조적 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쌀보리의 전분 및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beta}-amylosis\;limit(%)$는 각각 56.3, 87 및 52% 이었고, 겉보리 58.6, 77.7 및 57.6%이었다. 쌀보리 아밀로펙틴의 outer chain length${\overline{OCL})$과 inner chain length ${\overline{ICL}}$을 각각 15.8 및 7.8 이었고 겉보리는 각각 17.0 및 7.8이었고, 두 chain 길이의 비는 각각 약 2.1:1 및 2.0:1이었다. 두 시료 전분 모두 pullulanase 로 debranching 한 후의 Sephadex G-75에 의한 용출곡선의 양상은 ${\overline{dp}}55$ 이상의 아밀로오스 성분을 나타내는 분획과 아밀로펙틴 성분으로 볼 수 있는 ${\overline{dp}}35-45$ 및 ${\overline{dp}}10-20$의 bimodal 분포를 갖는 분획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 debranching과 동시에 ${\beta}-amylase$로 처리한 경우는 가수분해 되지 않는 ${\overline{dp}}55$ 이상의 분획성분이 $0.3{\sim}1.5%$ 존재하였다. 아울러 ${\beta}-amylase$로만 가수분해한 경우도 시료차이 없이 ${\overline{dp}}\;55$ 이상의 ${\beta}-limit\;dextrin$ 성분과 ${\overline{dp}}\;10$ 이하의 과당성분으로 분획되는 비슷한 분획양상을 보였으나 분획성분의 분자량 분포사이에는 현저한 시료 차이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