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Ion-Selective Crown Ether Dyes

이온선택성 크라운 에테르 염료에 관한 연구

  • 강삼우 (한남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과) ;
  • 박종민 (한남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구원회 (한남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과) ;
  • 김근재 (한남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과) ;
  • 이수민 (한남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과) ;
  • 장주환 (한남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과)
  • Published : 1988.10.20

Abstract

New crown ether dye-Ⅰ and dye-Ⅱ having an azo group(-N=N-) were synthesized from monobenzo-15-crown-5 and dibenzo-18-crown-6. These dyes showed ${\lambda}_{max}$ of 377 and 383nm respectively. The complexes of alkali metal ions ($Na^+$, $K^+$, $Cs^+$) with dye ligands showed band shift (390~400nm) and intensity increased. For a given anion, the extraction constants are in the order of $K^+$ < $Cs^+$ < $Na^+$ for dye-Ⅰ and $Cs^+$ < $Na^+$ < $K^+$ for dye-Ⅱ.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electivity of crown ethers toward the alkali metal ions is dependant on the charge density of cation and the size of crown ether cavity. For a given cation, the order of the extraction constant is $Cl^-$ < $Br^-$ < $I^-$ < picrate. This order coincides with the degree of anion solvation effect.

Monobenzo-15-crown-5와 Dibenzo-18-crown-6을 모체로 아조(-N=N-)기가 치환된 두가지 새로운 crown ether dye-Ⅰ과 dye-Ⅱ를 합성하여 스펙트럼을 조사한바 ${\lambda}_{max}$는 377nm 와 383nm에서 나타났고. 이 crown ether dye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Na, K, Cs)과의 착물 스펙트럼에서 ${\lambda}_{max}$는 390~400nm의 띠 이동과 세기가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추출상수값(Kex)은 음이온을 고정한 뒤 추출상수의 크기는 Crown ether dye-Ⅰ에서는$K^+$ < $Cs^+$ < $Na^+$의 순위를 얻었으며 crown ether dye-Ⅱ에서는 $Cs^+$ < $Na^+$ < $K^+$의 순서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칼리 금속의 이온반지름과 crown ether dye의 동공의 크기 관계와 알칼리 금속 이온의 전하밀도로 설명될 수 있고 도한 음이온의 변화에 따른 추출 상수의 크기는 두가지 crown ether dye에서 똑같이 $Cl^-$ < $Br^-$ < $I^-$ < picrate의 순위를 얻었다. 이는 음이온의 용매화효과 순서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각각 합성된 crown ether dye화합물의 추출계수 비를 구하여 비교 고찰하였고, 알칼리 금속 이온들의 회수율은 약 90%의 양호한 실험값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 Am. Chem. Soc. v.89 C.J. Persen
  2. Chem. Rev. v.74 J.J. Christensen;D.J. Eatough;R.M. Izatt
  3. J. Inorg. Nucl. Chem. v.37 P.R. Danesi;H. Meider-Gorican;R. Chiarizia;G. Seibona
  4. J. Inorg. Nucl. Chem. v.38 B.E. Jepson;R. Dewitt
  5. Anal. Chem. v.47 J.W. Mitchell;D.L. Shanks
  6. J. Phys. Chem. v.81 E. Mei;J.L. Dye;A.I. Popov
  7. J. Am. Chem. Soc. v.99 E. Mei;J.L. Dye;A.I. Popov
  8. J. Am. Chem. Soc. v.93 H.K. Frensdoff
  9. J. Inorg. Nucl. Chem. v.43 W. F. Kinard;W. J. Mcpowell
  10. Talanta v.25 M. Jawaid;F. Ingman
  11. Bull. Chem. Soc. Jpn. v.51 T. Twachido;A. Sadakane;K. Toei
  12. J. Phys. Chem. v.82 Y. Marcus;L.E. Asher
  13. Acc. Chem. Res. v.18 Lohr, H.G.;Vogtle, F.
  14. Bunseki Kagaku. v.32 M. Shiga;H. Nishida;H. Nakamura;M. Takagi
  15. Chemistry Letters. H. Nakamura;H. Sakka;M. Takagi;K. Ueno
  16. Anal. Letters. v.13 G.E. Pacey;B.P. Bubnis
  17. Analyst. v.106 G.E. Pacey;Y.P. Wu;B.P. Bubnis
  18. Bunseki Kagaku. v.31 H. Nakamura;H. Nishida;M. Takagi;K. Ueno
  19. Bull. Chem. Soc. Jpn. v.53 Y. Yamashita;H. Nakamura;M. Takagi;K. Ueno
  20. J. Am. Chem. Soc. v.93 E. Shohori;J.J. Grodzinsky;Z. Luz;M. Shporer
  21. Talanta. v.25 M. Jawaid;F. Ingman
  22. J. Amer. Chem. Sco. v.98 R. M. Izatt;R. E. Terry;D. P. Nelson;Y. Chan;D. J. Eatough;J. S. Bradshaw;L. D. Hansen;J. J. Christensen
  23. Bull. Chem. Soc. Jpn. v.49 Niro Matsuura;Kisaburo Umemoto;Yasuyki Takeda;Atsuko Sasa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