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IMPLED MODEL FOR HIGHER ORDER SCANNING CURVES IN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 FUNCTION

토양수분 특성함수의 고차 SCANNING 커브에 대한 간략한 모델

  • 정상옥 (경북대학교 농과대학(공학박사, 기술사))
  • Published : 1988.06.01

Abstract

A simplified model for higher order scanning curves in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 function is suggested. The conceptual hysteresis models developed by $Mualem_{8,9}$ are simplied for higher order scanning curves. Higher order drying curves are regarded as primary drying curves and the last wetting reversal point is assumed to be on the main wetting curve by moving that point vertically downward. For the higher order wetting curves, it is assumed that these curves can be regarded as primary curves and the last wetting reversal point sits on the imaginary main drying curve which passes through the last wetting reversal point. The water content computed from the simplified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Mualem's original model for second order scanning curves. It is found that absolut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aree relatively small and the simplified model always underestimates for higher order drying curves while it overestimates for higher order wetting curves. Hence, those two tend to compensate each other for repeated drying-wetting processes. The simplified model approximates higher order scanning curves well and reduces computation considerably.

토양수분 특성함수의 고차 scanning 커브에 대한 간략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Mualem의 개념적 이력모델을 고차 scanning 커브에 대하여 간략하게 변형시켰다. 즉, 고차 건조곡선에 대하여는 마지막 회향점을 연직하향으로 이동시켜 주습윤곡선과 만나는 점을 회향점으로 하는 일차건조곡선으로 간주하였다. 또, 고차 습윤곡선에 대하여는 마지막 회향점을 지나는 가상의 주건조곡선에서 출발하는 일차습윤곡선으로 간주하였다. 이 간략한 모델을 사용하여 이차 scanning 커브에 대하여 계산한 토양 함수량과 Mualem의 모델을 이용해서 구한 토양 함수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모델 사이의 절대오차는 비교적 작았으며, 간략한 모델이 Mualem 모델보다 고차 건조시에는 항상 낮게, 고차 습윤시에는 항상 높게 함수량을 추정하였다. 따라서 건조와 습윤을 반복하는 경우 오차는 서로 상쇄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략한 모델이 고차 scanning 커브에서의 토양 함수량을 잘 추정하였으며 계산과정을 많이 감소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