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rmination Induction of Some Weed Seeds Stored Under the Dry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

건조저온저장(乾燥低溫貯藏)한 몇가지 잡초종자(雜草種子)의 발아유기(發芽誘起)

  • Cho, K.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Kim, J.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Kim, Y.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Published : 1987.03.30

Abstract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recognize the germination change in relation to storage period, using 25 kinds of field-collected weed seeds stored under the dry and low temperature ($4{\pm}1^{\circ}C$), and to establish a simple germination induction methods in some kinds of them. No or weak dormancy was observed in Lepidium virginicum, Rumex japonicu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eschnomene indica and Ludwigia prostrate. The germination of Digltaria sanguinalis, Portulaca oleracea, Amaranthus spp., Echinochloa crux-galli, Polygonum persicaria, Cyperus iria, and Aeschynnmene indica was enhanced by $H_2SO_4$ treatment for 20, 2, 2, 50, 40, 3 or 5 minutes, respectively. Favorable germination in Polygonum persicaria and Echinochloa crus-galli was obtained by soaking in water for 25 days and 50 days, respectively. Moisture treatment for 21 days and 14 days caused the enhancement of germination in Cyperus difformis and Aneilema keisak, respectively. Combination of various treatments in Cyperus iria was most effective when the seeds treated with $H_2SO_4$ for 3 minutes incubated in alternating temp. after soaking in 0.2% $KNO_3$, but their effect on Digitaria sanguinnlis was little.

원활한 제초제실험(除草劑實險)을 수행(遂行)하기 위해서는 실험재료(實驗材料)로서의 잡초종자(雜草種子)가 년중(年中) 계속 공급(供給)될 수 있어야 된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25종(種)의 잡초종자(雜草種子)에 대하여 건조저온상태(乾燥低溫狀態)에서의 발아율(發芽率) 변화(變化)를 조사하고 몇 가지 종자(種子)의 간단한 발아유기방법(發芽誘起方法)을 검토(檢討)하였다. 1. 콩다닥냉이, 참소리쟁이, 엉겅퀴, 자귀풀, 여뀌바늘은 휴면(休眠)이 없거나 그 정도가 얕아 어떠한 처리 없이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강아지풀 외(外 )기타종(其他種)에 대해선 발아촉진(發芽促進)을 위해 어떠한 처리가 요구되었다. 2. 농황산처리의 경우 당년에 채종(採種)되어 건조저온저장중(乾燥低溫貯藏中)인 바랭이, 쇠비름, 참비름, 피, 봄여뀌, 참방동산이, 자귀풀 종자(種子)를 각각 20분, 2분, 2분, 50분, 40분, 3분, 5분 처리함으로써 발아(發芽)를 유기(誘起)시킬 수 있었다. 3. 담수 및 습윤처리의 경우 피와 봄여뀌 종자는 각각 50일, 25일 담수처리에서, 알방동산이와 사마귀풀 종자는 각각 21일, 14일 습윤처리에서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되었다. 4. 농황산, 침종(浸種) 및 온도(溫度)의 혼합처리의 경우 바랭이는 그 효과가 적었으나 참방동산이는 농황산 3분 처리 후 0.2% $KNO_3$ 용액에 침종(浸種)하여 변온조건(變溫條件)에 두었을 때 가장 발아율(發芽率)이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