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학연구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제14권1호
- /
- Pages.38-50
- /
- 1987
- /
- 2466-2402(pISSN)
- /
- 2466-2410(eISSN)
비름과(科)(Amaranthus sp.) 식물(植物)의 재배종(栽培種)과 야생종간(野生種間)의 생리학적(生理學的) 특성비교(特性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Physiological Characters Between the Cultivar and Wild Plant in Amaranthus sp.
- Cheong, Jang Hee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 Choi, Kwan Sam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발행 : 1987.06.30
초록
최근(最近) 이삭비름(Grain Amaranthus) 종(種)으로 알려진 재배종(栽培種) A. hypochondriacus 종(種) 및 A. cruenthus 종(種)과 야생종(野生種)인 A.retroflexus 종간(種間)의 생장곡선(生長曲線), 생산성(生産性), 개화습성(開花習性), 발모특성(發茅特性) 등(等)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남미지역(南美地域)에서의 재배종(栽培種)인 A. hypochondriacus 종(種)은 모둔 면(面)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육(生育)을 보여 우리나라에서의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한 작물(作物)임을 알아내었다. 한편 종자(種子)의 등숙과정(登熟過程)에 따른 발모력형성(發茅力形成)과 휴안유유도(休眼誘誘導)의 과정(過程)을 경시적(經詩的)으로 조사(調査)해 본 결과(結果) 재배종(栽培種)과 야생종간(野生種間)에는 커다란 차이(差異)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백색종피(白色種皮)의 재배종(栽培種) A. hypchondriacus 종(種)은 높은 발모력형성능(發茅力形成能)만 보일 뿐 휴안(休眼)이 전혀 유도(誘導)되지 않았는데 비하여 흑색종피(黑色種皮)의 야생종(野生種) A. retroflexus 종(種)은 강한 휴면이 유도되어 등숙과정에는 전혀 발모(發茅)하지 않았다. 이들 재배종(栽培種)과 야생종간(野生種間)의 휴안유도(休眼誘導)의 차이는 등숙과정중(登熟過程中)의 친식물(親植物)이 갖는 광감수성(光感受性)의 차이(差異)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써 형성(形成)된 종자내(種子內) 피토크롬 색소계의 존재양상(存在樣相)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들 종자내(種子內)의 피토크롬 색소계가 다르게 존재(存在)할 수 있는 것은 재배종(栽培種)의 흰색종피가 야생종(野生種)의 검은 종피보다 광 스펙트럼 흡수에 있어서 보다 적게 흡수할 뿐만이 아니라, 야생종인 흑색종피는 700nm이상의 근적외광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많이 흡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growth behaviors (height, weight, yield capacities etc.) and germination characters (induced photo-dormancy) among the three different species of Arnaranthus sp.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owth of the cultivar of A.hypochondriacus was more vigor than that of the wild plant of A.retroflexus during the whole life cycle. The fresh weight, dry weight, yield capacity of A.hypochondriacus were much mo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two species (A.retroflexus and A.Cruenthus). There are very different germinability formation and induced dormancy patterns between the cultivar and wild plant during seed formation periods. The cultivar of A.hypochondriacus was not induced primary dormancy in the any seed formation stages but wild plant of A.retroflexus was induced deep true dormancy. We suggested that these differences occured by the sum of different absorption of solar energy spectrum by the different seed colors between the cultivar (white color seed) and wild (black seed). And we confirmed the different absorption spectrum of the three different Arnaranthus sp. see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