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Solubilities and Vapor Pressures of Chlorothalonil and Command

농약 Chlorothalonil 과 Command 의 수용성 및 증기압

  • Kim, Kyun (Toxicology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deogdanji) ;
  • Kim, Yong-Bae (Toxicology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deogdanji) ;
  • Kim, Yong-Hwa (Toxicology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deogdanji) ;
  • Roh, Jung-Koo (Toxicology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deogdanji)
  • 김균 (한국 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센터) ;
  • 김영배 (한국 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센터) ;
  • 김용화 (한국 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센터) ;
  • 노정구 (한국 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센터)
  • Published : 1987.12.30

Abstract

The water solubilities and vapor pressures of chlorothalonil and Command were measured following the guidelines of the U.S. EPA and OECD. Water solubility of the two compounds is consistent with respective values in the literature. However, the vapor pressures of Chlorothalonil and Command were 5,000 times$(2{\times}10^{-7}\;torr\;at\;25^{\circ}C)$ and 100 times$(<1{\times}10^{-6}\;torr\;at\;45^{\circ}C)$ lower than the literature values, respectively. Courteous use of the vapor pressure values in the handbooks is suggested. With this study, experimental difficulties involved were recognized. Based on the low vapor pressure of Command, the cause of the accidental bleach of non-target plants in the United States might not be attributed to the volatilization of Command, but to the drift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herbicide. These approaches will be utilized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fate of new chemicals under development, to screen the potential environmental pollutants among chemicals already in use, and to assess measures to minimize the hazards.

Chlorothalonil 과 Command 의 수용성과 증기압을 미국 EPA 와 OECD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두 화합물의 수용성은 문헌치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chlorothalonil의 증기압은 handbook 에 나타난 수치보다 5,000배 낮았고($25^{\circ}C$에서 $2{\times}10torr$)의 Command 증기압은 100배 이상 낮음($45^{\circ}C$에서 $1{\times}10\;torr$ 이하)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handbook 류의 문헌의 물리화학적 특성치를 이용하여 환경동태를 예측하는 데는 주의를 요한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실험상의 난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미국내에서 Command 가 주위작물에 준 표백현상은 증기확산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살포시 유실에 의한 현상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새로운 화학물질의 개발단계에서 환경동태의 예측, 기존 화학물질의 오염가능성 예측, 오염저감 대책의 제시에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