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北漢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의 등산로(登山路) 주변(周邊)에서 답압(踏壓)이 식생환경(植生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il Compaction upon the Vegetation Environment around the Trails in Pukhansan National Park

  • Suh, Min Hwa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 Koo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87.05.08
  • 발행 : 1987.06.30

초록

본 연구는 등산로 주변의 토양 및 식생에 대한 답압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외 조사는 1986년 4월 6일과 10월 9일 사이에 11회에 걸쳐 북한산 국립공원 내의 우이 계곡과 정릉 계곡에 위치한 등산로 및 삼림 지역에서 실시되었다. Core를 이용하여 채취한 토양의 물리적 성질들을 측정하고, 식생 조사를 실시하여 현존 식생의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등산로 주변과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지 않은 삼림과의 토양 및 식생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등산로별 이용량을 시간당 이용 인원수로 산정하여 이용량의 차이에 의한 변화량의 차이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의 물리적 성질은 등산로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점차 호전되어 삼림지역에서 가장 좋은 상태였다. 삼림지역에서는 등산로 주변보다 더 많은 수의 목본류가 나타났으며 흉고 단면적도 더 컸다. 그러나 초본류의 경우는 등산로 주변에 더 많은 개체가 나타났으며 피도도 더 컸다. 우이 계곡에서는 토양의 가비중 및 토양 경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생량이 감소했다. 그러나 정릉 계곡에서는 가비중 만이 식생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뿐 다른 토양 인자는 식생량의 변화에 크게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정릉 계곡의 식생은 토양 인자보다는 다른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뜻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휴양지의 식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mpling on the changes in soil and vegetation around the trails. The study areas were established both on the trails and in the forested areas located in Ui and Jeongnung valleys at Pukhansan National Park. Soil core sampling, measurements of vegetations and counts of persons visited per hour were done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6 to October 9, 1986.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became better with increasing distances from the trail, and the best conditions were observed in the forested areas.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zones within the trailside. More number of individuals and basal area (or coverage) in woody plants were observed in the forested areas than at trailsides. For the herb layer, however, more number of individuals and coverage were shown at the trailside. In the Ui valley,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herbaceous plants decreased as the bulk density and penetration resistance increased. In the Jeongnung valley, however, only bulk dens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quantitative measures. The fact that there were poor relations between soil factors and quantitative measures of herbaceous plants in Jeongnung valley might be influenced by other factors rather than soil compaction. Thus, mo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understand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vegetational changes in recreation area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