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Brown Layer in Summer

산란계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하절기에 있어서 갈색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7.11.01

Abstract

Total 720 brown layers were fed 9 rations differing in metabolizable energy (2500, 2700 and 2900 kcal/kg) and crude protein (13, 15 and 17%) levels for a period of 12 weeks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brwon layer in summer. As metabolizable energy level increased from 2500 to 2900Kcal/kg of feed egg production, daily feed and protein intake were decreased, but daily energy intake, energy requirement and feed cost per kilogram of egg mass were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gg weight, feed conversion and motality among dietary energy levels. On the other hand, as dietary Protein level increased from 13 to 17% egg Production, egg weight, daily protein intake and protein requirement per kilogram of egg mass were increased, but feed and energy requirement and feed cost per kilogram or egg mass were decreased. However daily feed intake and mortality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level.

본 시험은 산란계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하절기에 있어서 갈색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및 2900Kcal/kg)과 단백질 3수준(13, 15 및 17%)을 조합한 9개처리에 24주령된 Warren 산란계 720수를 공시하여 1983년 6월 3일부터 동년 8월 25일까지 1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는 다음 요약과 같다. 1. 산란율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저하되었고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2. 란중은 에너지 수준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3. 사료섭취량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으나,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4. 사료요구율은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개선되었다. 5. 폐사율은 사료중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6. 1일수당 에너지 섭취량은 사료중의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7. 산란 kg당 대사에너지 요구량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8. 산란kg당 단백질 요구량은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9. 산란kg당 사료비는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고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