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on and Evolution of Turbidity Maximum in thd Keum Estuary, West Coast of Korea

금강 하구에서의 최대혼탁수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1987.06.01

Abstract

A series of anchor stations were occupied along the Keum EAstuary during six different periods of tidal and fluvial regimes. The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turbidity maximum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dimentary processes in this environment. The turbidity maximum in the Keum Estuary is primarily related to the tidal range at the mouth and is caused by the resuspension of bottom sediments. In this estuary, the turbidity maximum is not a permanent feature and shows semidiurnal, fortnightly and seasonal variations. Repetition of deposition and resuspension of fine sediments occur in response to the variation in current velocity associated with semidiurnal tidal cycles. The core of turbidity maximum shifts landward or seaward accordion to the flood-ebb succession. The turbidity maximum also shows a fortnightly variation in response to the spring-neap cycles. Thus, the turbidity maximum degenerates during neap-tide and regenerates during spring-tide. The freshwater discharg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and destruction of the turbidity maximum. The increase in freshwater discharge in rainy season can create an ebb-dominant current pattern which enhances the seawar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resulting in the shortening of residence time of suspended materials in the estuary. Thus, under this high discharge condition, the turbidity maximum exists only during spring-tide and starts to disappear as the tidal amplitude decreases.

금강 하구의 에스추어리 환경에서 6차에 걸친 야외조사 및 정선관측이 행해졌 다. 각 조사시기는 모두 다른 조차와 하천배수량의 조건을 보여 주는 기간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금강하구에서의 세립질 퇴적물 퇴적작용에 최대 혼탁수의 형성 과 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이 나타났다. 금강 에스추어리의 최대혼탁수는 일차적으로 입구에서의 조차가 클 때는 나타나는 현상이며, 바닥 퇴적물의 재부유 에 의해 형성되어 진다. 이 환경에서는 최대 혼탁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지지 않고, 반일, 반월 및 계절주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반일 조석주기 동안에는 조류 유 속의 변화로 말미암 아세립질 퇴적물의 퇴적과 재부유가 반복되어 진다. 한편, 최대 혼탁수의 중심은 창조류와 낙조류가 반복되는 것에 상응하여 상-하류 이동을 반복 한다. 채대 혼탁수는 대조기-소조기의 변화에 따른 15주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렇 게 하여, 최대 혼탁수는 소조기 동안에 쇠퇴하고 대조기 동안에 확장된다. 하천 배 수량의 계절변화도 또한 최대 혼탁수의 생성과 소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우기 에 하천배수량이 증가하게 되면 조류가 낙조류 우세를 나타내고, 부유퇴적물들은 쉽게 외해로 유출되어 에스추어리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감소되어 진다. 따라서, 이 와 같은 많은 하천배수량의 시기에는, 최대 혼탁수의 발단은 오직 대조기 동안으로 만 국한되어 지며, 조차가 감소함에 따라 최대 혼탁수는 소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