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c{1}{4}$ß$\frac{1}{2}$

주요 식량작물에 대한 시비적량 추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87.09.01

Abstract

In order to estimate the optimum fertilizer level for rice, a major food crop,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the fertilizer trials conducted at 642 experimental sites(farmers' fields) throughout the country for the period from 1976 to 1979 were examined. Since non-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fertilizers have been ovserved from the past experiences, only thirteen treatments(combinations of fertilizer levels) for the experiments as given in the Table 1 were chosen such that simple response curves can be fitted with independent variables being N, $P_2O_5, and K_2O$. Weighted combining analysis of variance was also carried out for each type of paddy field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reatments $\times$ Experimental sites interaction, and highly significant variability in response to treatments among experimental sites in the same type of paddy fields was observed in most types of fields. For the types of paddy fields where the treatments $\times$ experimental sites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separate response curves for N, $P_2O_5, and K_2O$ wer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mean yields of rice, and common values of the optimum levels of fertilizers were extimated thereform. When the interaction is significant, response curves were fitted for each experimental sites. The average fertilizer doses estimated for the types of paddy fields based on the individual sites are given in Tables 7-1 and 7-2.

작물에 대한 생산수단의 하나인 비료의 양과 수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1909년에 Mitcherlich 함수식이 발표된 이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여러가지 함수식에 대하여도 광범위하게 다루어졌다(Academic Sciences/National Research Council, 1961), Abraham 과 Rao(1960), Welch 등(1963), Hermanson(1965), Colwell 과 Esdaile(1965), Barker(1978) 등은 작물의 수량과 비료와의 관계를 주로 2차함수식으로 나타내었고 또 Abraham과 Rao(1966) 등 많은 사람들이 여러가지 작물에 대하여 다양한 함수식을 비교분석하였다. 吳와 張(1969) 은 2차 반응표면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작물에 대한 적정시비량을 추정한 바 있다. 작물에 미치는 비료의 효과는 토양과 기후조건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모재에서 유래된 토양이라 할지라도 토양의 관리방법에 따라 토양의 생산성이 다르기 때문에 (Greenwood등, 1974) 작물의 시비적량을 추정함에 있어서 Laird와 Rodriguez(1965)를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Colwell, 1967, 1968, Abraham, 1973, 張 1980)이 실험지 변수를 이용한 중회귀모 형식을 써서 연구한 바 있다. 특히 張(1980)은 각 실험지별 오차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실험지 변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비료성분 별로 도내의 모든 실험결과를 하나의 방정식에 넣어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년간 농가 포장에서 실험한 비료시험 성적을 이용하여 張(1987)이 제시한 일련의 포장실험 결과의 가중통합 분석방법에 의하여 실험지별 비료의 반응과 실험지 $\times$ 비료반응의 교호작용을 검토하여 자료의 통합분석 가능성을 파악하고 수도에 대한 합리적인 시비적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