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control Potentials of Rhizosphere Antagonists to Rhizoctonia solani

)의 발생(發生)에 관여하는 근권길항균(根圈拮抗菌)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및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 검토(檢討)"> 원예작물(園藝作物) 모잘록병(Rhizoctonia solani $K\"{u}hn$)의 발생(發生)에 관여하는 근권길항균(根圈拮抗菌)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및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 검토(檢討)

  • Kim, Hee-Kyu (Dept. of Plant Protection, College of Agric., Gyeongsang Natl. Univ.) ;
  • Roh, Myung-Ju (Dept. of Plant Protection, College of Agric., Gyeongsang Natl. Univ.)
  • 김희규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물보호학과) ;
  • 노명주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물보호학과)
  • Published : 1987.06.30

Abstract

Antagonistic microorganisms from rhizosphere soil were isolated, identified, and applied successfully as the biocontrol agents of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pp. Rhizosphere antagonists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viride, T. harzianum, T. hamatum, T. polysporum, Gliocladium sp., Pseudomonas fluorescence, P. stutzeri, P. cepacia, Enterobacter sp., Serratia sp. and Erwinia herbicola. Of these, the most promising ones in vitro were T. virdie, T. harzianum, Gliocladium sp., Serratia sp., P. stutzeri, and P. cepacia. These above six antagonists were efficient in reducing disease incidence to $40{\sim}70%$ when the reselected rhizosphere antagonists preparations were applied to the soil at $10^6$ propagules per gram. Among six antagonists, T. viride was the most promising biocontrol agents against R. solani isolates in soil. The suppressive effect was more evident in steam-sterilized soil than in non-sterilized field soil.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재배(栽培)되는 고추, 오이, 배추, 딸기 등(等)의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길항미생물(拮抗微生物)을 이용(利用)하여 Rhizoctonia병(病)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길항균(拮抗菌)은 Trichoderma viride, T. harzianum, T. hamatum, T. polysporum, Gliocladium sp., Pseudomonas fluorescens, P. stutzeri, P. cepacia, Enterobacter sp., Serratia sp., Erwinia herbicola 등(等)으로 동정(同定)되었고, in vitro에서 우수(優秀)한 길항균(措抗菌)은 T. viride, T. harzianum, Gliocladium sp., P. stutzeri, P. cepacia, Serratia sp. 등(等)이었다. In vivo에서의 길항효과(拮抗效果)는 기주(寄主)와 균주(菌株)에 따라 다소 차이(差異)가 있었고, 살균토(殺菌土)에서 비살균토(非殺菌土)보다 길항효과(拮抗效果)가 더 좋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재선발(再選拔)된 6가지 길항균(拮抗菌)을 토양내(土壤內)에 접종(接種)($10^6cfu/g\;soil$) 했을 때, 길항효과(拮抗效果)가 가장 우수(優秀)한 것은 T. viride 이었다. 병원성(病原性)이 가장 강(强)한 오이 뿌리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AG 1)를 오이, 배추, 무우등(等)에 처리(處理)하여 길항균(拮抗菌)을 접종(接種)하였을 때는,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하여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약(弱)한 경향(傾向)(40%)이었으나, 고추(AG 1), 고추(AG 2-1), 수도(AG 1)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각각(各各) 70% 정도의 발병(發病)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