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on Fish Oil

생강 추출물의 어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 BYUN Han-Seo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YOON Ho-D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KIM Seon-B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Y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변한석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윤호동 (국립수산진흥원) ;
  • 김선봉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박영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6.07.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on fish oil. The changes of sardine oil with and without ginger extract were estimated by periodically measuring peroxide value (POV),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weighing method, acid value (AV)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 The POV of sardine oil by $80\%$ ethanol extract and fat soluble fraction obtained from ginger during storage was rapidly increased after 10 days, while water soluble fraction was slowly increased during storage for 25 days. TBA value of sardine oil by water soluble fraction was appeared to increase slowly until 10 days, but that of $80\%$ ethanol extract and fat soluble fraction was remarkably increased in early stages of storage. The weighing change of sardine oil by $80\%$ ethanol extract and fat soluble fraction were shown $3.5\%\;and\;1.7\%$ for 15 days, but by water soluble fraction was marked $0.5\%$ of weight gain. Docosahexaenoic acid (DHA)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of sardine oil during storage markedly decreased, but by the addition of each fraction of ginger extracts,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DHA was effectively inhibited, of which water soluble fraction was most effective.

천연항산화제의 유효이용을 위하여,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산항화성물질을 정어리유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 산가, TBA가, 중량변화 및 지방산조성 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그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다. 1. 저장중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 생강의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10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수용구는 25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2. 저장중 TBA가의 변화는 수용구가 10일 째까지 완만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한 반면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초기부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저장중 산가의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0일째부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수용구는 30일 째까지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저장중 중량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5일 째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80\%$ ethanol 추출구는 20일 째 약 $3.5\%$, 지용구는 $1.7\%$, 증가한 반면 수용구는 약 $0.5\%$ 증가하였다. 5. 저장중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저장초기에 포화산은 약 $41.4\%$ 이었으며 $C_{14:0}$가 약 $9\%$, $C_{16:0}$$28.9\%$로서 포화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고, monoene산은 $19.0\%$로서 $C_{16:1}$이 약 $9\%$, $C_{18:1}$$8.6\%$로서 monoene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polyene산은 약 $32.1\%$로서, $C_{20:4},\;C_{20:5},\;C_{20:6}$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생강의 각 추출구를 첨가한 후 저장 40일 째의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대조구에 있어서 포화산이 약$62.2\%$이고 monoene산은 $29.0\%$, polyene산은 약$5.6\%$인데, polyene산의 경우 저장초기에 비하여 약$26.5\%$ 감소하였는데 $C_{20:4},\;C_{20:5},\;C_{22:6}$이 주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80\%$ ethanol 추출구. 지용구 및 수용구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polyene산의 감소비율이 작았는데 특히 $C_{22:6}$의 경우 수용구의 감소비율이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지용구 $80\%$ ethanol 추출구의 순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