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 for Grain Yield in Barley

기상요인이 맥류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6.10.01

Abstract

The studie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the 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 for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barley. The data of Olbori tested in 9 sites for 12 years were used in the studies. Milled grain yield was decreased in paddy field after rice harvested comparing to the upland condition, and yield potential was differed by test sites with the most stable yield in Gyeongnam.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analyzed for milled grain yield by years were 12.2-42.6%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high-yield and low-yield year. Heading date was earlier in high-yield year and southern part compared to the low-yield year and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showing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ain yield and heading date. High-yield year showed longer in culm length, shorter in spike length, almost same in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lower in 1,000grain weight compared to the low-yield year. Correlation analyzed between number of spikes and grain yield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Temperatures affected to the grain yield analyzed by high in vegitative growth stage, low in alternative growth stage, and almost same in reproductive growth stage in high-yield year comparing to the low-yield year, however no remarkable differences of temperatures affected were detected in over wintering stage between high-yield and low-yield year. Precipitation amount in high-yield year was lesser in sowing time, more in seedling time, and lesser in over wintering time than those of the low-yield year. Correlation between rainfall amount in the early of April and grain yield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markable affects to the grain yield. Sunshine hours in high-yield year were longer in sowing time, shorter in over wintering time, and after the over wintering time to harvesting time was longer than those of the low-yie-ld year.

논보리 수량에 미치는 기상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답리작 9개 시험지에서 12개년간 수행한 올보리의 보리쌀 수양성적을 발표하고 이 시기에 조사된 수량구성요소와 기상관측치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던 바 몇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여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보리쌀 수량은 전작에 비하여 답리작에서 감수되었고 지역간에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경남은 보리 재배에 안전성이 있었다. 2. 보리쌀 수량의 연차간 변리계수는 12.2~42.6%로서 풍ㆍ흉연간의 차이가 현저하였고, 출수기는 풍년이 흉년보다 남부가 중부보다 빨랐으며, 출수기와 수양간에는 부의 유의상관이 존재하여 출수기가 빠른 것이 증수되었다. 3. 풍년은 흉년보다 간장이 긴반면 수장은 짧은 경향이었고 수당입수는 비슷하였으나 천립중은 가벼웠으며 수수와 수량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어 풍ㆍ흉에 관계없이 수수가 $m^2$당 500개 이상이었던 것은 보리쌀이 10a당 250kg 이상 생산되었다. 4. 보리의 수량에 미친 온도는 풍년이 흉년에 비하여 감온성에 영향하는 영양생장기는 고온으로 교대기는 저온으로 경과되었고 감광에 지배되는 생식생장기는 비슷하였으며 월동기간의 온도와 보리 수양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강우량은 풍년이 흉년보다 파종기는 적었고 유묘기에는 많았으나 월동기간에는 적었다. 4월 상순의 강우량과 논보리 수량과는 부의 유의상관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 강우량이 40mm 이상이었던 것은 보리쌀이 10a당 250kg 이하로 생산되어 보리의 수량 결정적인 영향을 하있으며 4월 중순 이후에는 풍년이 흉년보다 다소 많은 경향이었다. 6. 일조시간은 풍년이 흉년보다 파종기에는 길었고 월동기간은 짧았으며 해동후 수확기까지는 긴 상태로 경과하였는데 일조시간이 보리 수량에 미친 영향은 온도 및 강우량보다 명백하지 않았다.

Keywords